데이터센터 사업자들이 2029년까지 총 전기계약용량 중 92.2%를 수도권에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수요가 수도권에 몰리면서 우리나라도 전력난이 발생할 우려가 제기된다. 대규모 전력수요처를 대상으로 '전력계통영향평가' 등 대책 시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에게서 제출받은 '전국 데이터센터 전기공급 및 사용예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사업자들이 2029년까지 수도권에 신청한 전기계약용량이 13.5GW로 전국에 신청한 총 전기계약용량 14.7GW의 92.2%에 달했다. 이는 신고리 4호기(1.4GW) 원전 10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구체적으로는 서울 51개소 3237㎿, 경기 118개소 8789㎿, 인천 13개소 1494㎿로 나타났다. 경기 지역에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집중될 전망이다.
이 의원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확정된 제9차 송변전설비계획에서는 '수도권 공급능력 부족으로 IDC 신규수요의 50% 적기 공급 어렵다'고 분석해 한계용량 초과를 경고했다. 하지만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불확실성이 크다는 이유로 데이터센터 확충에 의한 전력소비량 전망을 반영하지 않았다. 또 데이터센터 업계는 대부분 고객이 수도권에 있고 인력 문제 등으로 수도권을 선호하고 있다.
이 의원은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시행하는 등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생산과 소비에 대한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난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국회에서도 전력계통영향평가를 포함한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법은 아직 제정되지 않았다.
이 의원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데이터센터가 본격적으로 수도권에 들어설 계획”이라면서 “법 통과 이전이라도 전력계통 영향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