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소외계층 대상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미디어 격차 없는 행복한 포용국가 실현을 목표로 △콘텐츠 제작 지원 강화 △미디어 접근성 보장 △디지털 기술 혁신 △미디어 포용 기반 조성 등을 5년간 추진한다.
방통위는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을 실시간부터 비실시간까지, 지상파 방송에서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까지 확대하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장애인방송 의무화를 검토한다. 장애유형별·학년별 맞춤형 교육콘텐츠 제작도 늘린다.
지난해 기준 32.3%에 머물러 있는 장애인용 TV 보급률을 2025년까지 50%로 높인다. 다양한 제조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장애인 TV 보급 방식을 개선하고 한국수어방송 의무비율을 기존 5%에서 7%로 상향 조정한다.
자막 크기, 위치 조정, 음성 안내 등 장애인 특화기능을 일반 스마트TV와 유료방송 셋톱박스에 탑재한다. 지난해 KT에 이어 올해는 SK브로드밴드, 내년에는 LG유플러스가 장애인방송 특화기능을 탑재한 셋톱박스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또 장애인방송 지원 기본법을 제정하고 장애인방송 디지털기기 제조·콘텐츠 제작 표준안을 마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미디어 소외계층도 손쉽게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신기술을 개발한다. 세계 최초 인공지능(AI) 기반 완벽한 아바타 수어방송과 화면해설 구현이 목표다.
방통위는 연말까지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법제도를 정비하고 내년부터 2023년까지 관련 기술 고도화와 평가제도를 마련한다. 2024~2025년에는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법제를 본격 구현할 계획이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디지털 환경과 비대면 사회에서 국민 모두가 소외되지 않고 디지털 혜택을 누리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장애인 미디어 접근권 정책 '퍼스트 무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