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급식소와 학교급식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기술이 적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2022년~2024년)'을 4일 발표했다.
데이터 기반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골자로, 2024년부터 어린이집 등 등록급식소에 '스마트어린이급식관리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스마트어린이급식관리시스템은 인력이 부족한 소규모 급식소 위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에 사물인터넷(IoT) 기반 온도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 자동으로 점검·관리한다. 식재료 정보, 조리법, 필수 영양정보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령별(이유식, 유아식 등), 특수식(알레르기 체질) 등 맞춤형 식단을 제공한다. 식재료 구매부터 보관, 전처리, 조리, 배식, 식단, 보존식 관리 등 급식관리 전반 업무를 정보화해 식중독을 예방하고 급식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어린이 먹거리 빅데이터도 구축한다. '식중독균 유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확대해 식중독 원인조사 대응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유전정보 누적 DB를 2022년 1만6500건 수준에서 2024년 1만9500건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 밖에 식품영양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해 규제과학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구축한 DB는 어린이집·학교 등 급식시스템과 식품영양정보 DB와 연계해 식단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재용 식약처 식품소비안전국장은 “우선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수집·표준화해 데이터에 기반한 어린이 식생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식품영양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어린이집·유치원·학교 급식시스템과 연계해 균형 잡힌 식단 개발 등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
김시소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