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작 TV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 속 페이 발렌타인은 작중 2014년, 불치병을 치료하기 위해 냉동수면에 들어간다.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미래를 기다리기 위해서다. 페이는 54년 후에 치료를 받고 냉동수면에서 깨어난다.
극중 냉동수면 기술은 극저온 냉매로 생물을 얼려 보관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구성분자가 상온에서 역학적으로 유리한 방향으로 화학반응을 하는 것을 막아 보존성을 높인다.
불치병 치료를 위한 임시방편이나 우주개발에 이용한다. 카우보이 비밥에서는 토성 위성 타이탄에도 인류가 산다. 토성 무인 탐사선 카시니-하위헌스가 지구에서 토성까지 가는데 7년이 걸렸으니 유인선의 경우 현재 기술로는 가늠할 수도 없는 수준이다. 이동 시간으로 버려지는 수명을 아낄 수 있다. 나이 차가 나는 연인이 나이를 맞추기 위해 한쪽이 냉동돼 기다리는 로맨틱 하면서도 그로테스크한 일도 상상해 볼 수 있다.
실제로는 아직 인류가 구현할 수 없는 기술이지만 연구는 진행 중이다. 냉동수면은 1962년 물리학자 로버트 에틴거가 처음 제안했다. 1967년 심리학자 제임스 베드포트가 사망 후 냉동인간으로 보존 중이다. 사망선고를 받은 사람은 뇌와 신체기능이 한동안 유지되는데, 바로 몸이나 뇌를 초저온으로 얼려 보관하면 먼 미래에 해동시켜 되살릴 수 있다는 개념이다.
미국 알코어 생명연장 재단은 머리만 잘라서 보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냉동인간이 소생될 쯤에는 기계 의체에 뇌를 의식하거나 체세포를 통해 뇌를 제외한 몸 전체를 새로 만드는 기술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한다. 알코어 재단에서 보존 중인 냉동인간은 현재 182명이다. 한국에서는 이식용 장기 해동연구개발 기업 크리오아시아가 2018년 러시아 냉동인간기업 크리오러스와 함께 국내 냉동인간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우보이 비밥처럼 얼렸다가 치료해 다시 살리는 기술은 갈 길이 멀다. 냉동인간을 온전히 해동하는 기술은 아직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인간 전 단계인 난자와 정자의 냉동보존은 실용화됐다. 질병이나 약물치료 등으로 불임이 예상되는 경우나 임신 적령기에 난자를 냉동해두었다가 나중에 체외 수정해 아기를 갖기도 한다. 수정된 배아도 냉동 보존한다. 작년에는 27년간 냉동 보존된 배아를 자궁에 착상시켜 출산하는데 성공했다.
인간을 얼리고 해동하는 것까지 실용화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초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글 딥러닝 엔지니어링 이사이자 '특이점이 온다' 저자 레이몬드 커즈와일은 2045년께 나노 기술로 냉동인간 소생이 가능해질 것이라 보고 있다.
카우보이 비밥 속 페이는 기억을 되찾고 난 뒤 방황한다. 다 늙어 버린 어릴 적 친구를 만나 혼란에 빠진다. 어쩌면 현재 친구와 연인, 가족과 함께 행복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먼 미래에 완벽한 신체를 가졌지만 외톨이가 되는 것보다 행복한 삶이 아닐까 싶다. 물론 현재 살아있어도 연인이 없어 외로운 나 같은 사람은 상관없겠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