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경제계 인사가 핵심 공급망(GVC) 재편 관련해 기업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민감한 기밀을 보호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허창수 한미재계회의 위원장(전국경제인연합회장)은 코로나 이후 무역 재건을 위해 한미일 3자 경제계 협의체 추진을 제안했다.
전경련은 9일 미국 상공회의소와 '포스트 팬데믹, 글로벌 경제질서 변화와 한미경제협력'을 주제로 제33차 한미재계회의 총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허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 위기 이후 경제 도약을 위한 한·미·일 3자 경제계 협의체 추진 계획을 밝혔다. 허 위원장은 “한미가 힘을 합쳐 무너진 세계 경제 질서를 바로잡고 자유로운 무역 환경을 재건해야 한다”면서 “한미일 경제계의 정례 대화와 협력을 위한 플랫폼을 출범시키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팬데믹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필요성이 부각됐고 한미 간에도 첨단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라며 “양국 민간 경제계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참여가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광재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축사에서 “군사동맹에서 출발해 무역 동맹으로 진화한 한미 동맹이 이제는 기술 동맹으로 한 단계 더 발전해야 한다”면서 “지식재산권 보호와 기술표준화 등에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국 참석자들은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고 민간 경제계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전략 분야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을 논의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양국 기업인은 제33차 한미재계회의 공동성명서를 통해 △공급망의 실질적인 병목점 파악을 위한 민관 대화 △기업의 자율적 참여를 위한 비즈니스 인센티브 제공 △기업의 비즈니스 기밀 정보 보호 등을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무역확장법 232조 개정 움직임에 공감하며 한미 경제 동맹을 위협하는 무역 제한 조치와 기업 규제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도 동의했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다만 미국 측은 내년 시행 예정인 우리나라의 중대재해처벌법이 경영·투자 환경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날 회의는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 모인 한국 측 참석자들이 미국 측 참석자들과 영상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리 측은 이광재 위원장과 이수혁 주미한국대사, 이경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혁신본부장 등 정부 주요 인사와 대한항공, 롯데, 효성, 한화, SK, 보잉, 3M, 아마존 등 주요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미국 측은 호세 페르난데스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과 아룬 벤카타라만 미 상무부 장관 수석정책고문이 참여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