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표준원이 22일 발표한 '국가표준 미래비전'은 디지털과 탄소중립에 방점을 찍었다. 글로벌 산업·통상 구조가 디지털 중심으로 대전환하고 있고, 탄소중립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사명으로 떠오름 마당에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표준정책도 시대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쪽으로 전환돼야 한다.
우선 탄소중립 표준화가 눈길을 끈다. 업종별 탄소중립 가이드와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표준을 개발하고, 국제상호인정체계 가입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겼다. 최근 정부가 확정한 '2030 NDC 상향'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우리 산업계의 현실과 동떨어진 목표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이런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 기반 조성과 저탄소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표준화 전략은 시급한 과제다.
국가표준 정책의 디지털전환도 중요하다. 표준화 대상을 광공업품에서 제품으로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혁신 기술 활용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SW)-데이터-AI 표준화와 상호 운용성 표준 기반 구축도 과제다. 각각 따로 운용되던 디지털 기기와 시스템 간 상호연동을 확대하는 것은 우리 산업계의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필요하다.
생활·안전 서비스 표준화를 통한 삶의 질 제고, 전략적 국제표준화 활동도 설정한 목표대로 제대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남은 것은 산업계와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다. 국가표준이 도입된 지 60년이 지났지만 국내 기업은 표준화 활동에 적극 나서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연구개발(R&D)부터 생산과 판매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당장 시급한 과제에 집중하다 보니 미래 인프라인 표준에 역량을 집중하지 못했다. 계기가 어찌됐든 국가표준 미래비전이 세워진 만큼 흔들리지 않는 추진체계와 함께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진정한 표준강국으로 나가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