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 현황과 주요 추진과제를 소개했다.
행안부는 코로나19 위기를 디지털 정부혁신 가속화 계기로 삼아 세계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당초 계획보다 진전된 디지털 정부혁신 발전계획을 수립했다.
장경미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기반과장은 “디지털 전환은 위기극복 핵심 수단이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요소”라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우리나라 디지털 역량을 확인하는 동시에 디지털 정부혁신 가속화·전면확대 요구가 증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지털 정부혁신 가속화·확대를 위한 전자정부법 등 주요법령과 각 부처 소관법령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행안부는 생애주기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국민비서 서비스를 개시했다. 또 전자증명서 활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모바일 신분증도 도입한다. 여기에 마이데이터를 개발하고 공공데이터 개발하고 클라우드 확대도 추진한다.
정부는 플라스틱 카드 형태 현 신분증을 온·오프라인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신분증을 도입해 공공·민간의 서비스를 혁신하고 디지털 경제 활성화 견인한다는 방침이다.
장 과장은 “지난해 모바일 공무원증 시범 구축에 이어 올해 모바일 운전면허증, 내년엔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등록증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지갑 없는 사회 구현으로 국민 편의성 증진과 신분증 도용 노출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온·오프라인 신원증명 통합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행안부는 디지털 기반 혁신성장과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환경 대응을 위해 기관별 소규모 전산환경을 클라우드 통합 운영으로 전면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공공 클라우드센터는 국가 안보, 수사재판, 내부 업무 등 중요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을 맡고 민간 클라우드센터는 대국민 공개용, 정보자원의 효율성이 우선되는 정보시스템을 다룬다는 계획이다.
장 과장은 “현재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가운데 약 83%가 소규모 전산실을 쓰고 있으며 약 66%는 노후 시스템”이라며 “공공서비스의 안정성과 운영관리 전문성, 사이버 위협 대응력을 강화해 디지털 수요에 적합한 공공부문 디지털 인프라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권혜미기자 hyeming@etnews.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