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백신 자급화율 "2025년 69%까지 가능"

서울 관악구 사랑의병원에서 한 시민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울 관악구 사랑의병원에서 한 시민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우리나라 백신 자급화율이 2025년까지 69%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당초 2022년 80%가 목표였지만 이에 크게 못 미쳐, 국가 전략물자 확보에 더 투자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한 '국내외 원료의약품 산업 현황 및 지원정책 연구'에서 2025년 19종 국내 백신이 자급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필수 백신 중 69%를 국내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원액을 수입해 국내에서 제조하는 것까지 포함한 수치다.

진흥원은 현재 임상 중인 국산 백신 중 탄저(대유행, 대테러 대비), 피내용BCG·폐렴구균(이상 국가예방접종) 등이 상용화되고, 일본 뇌염과 디프리아·파상풍·백일해(국가예방접종)·수족구(기타예방접종) 백신도 임상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했다.

진흥원 측은 “백신 개발 실패 확률이 없다는 가정하에 국내 임상 여건, 비용,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라면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로 백신이 국가 전략물자로 부상한 가운데 우리나라 백신 자급화율을 낮은 편이다. 올해 국감에서도 저조한 백신 자급율이 지적됐다. 식약처는 지난 2018년 필수 백신 자급률을 2017년 50%에서 2020년 70%, 2022년 80%까지 상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유통 중인 국가예방접종 백신 22종 중 국내 제조사가 원액부터 완제품까지 모든 공정을 제조·생산할 수 있는 백신은 6종(자급률 약 27.3%)에 불과하다. 전봉민 의원실(무소속)에 따르면 국내 필수 백신 28종 자급화율은 57%(원액 수입 후 국내 생산 포함, 16종)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백신 자주권 확보를 위한 작업에 나선다. 현재 임상 중인 국내 코로나19 백신이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 비용 등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백신 상용화·수출 등을 위해 백신·원부자재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K-글로벌 백신펀드' 총 1조원과 한국형 백신개발 바이오펀드를 신규 조성할 방침이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