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 성향 새 지도부로 구성된 현대차·기아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과 단체협상에서 사측을 상대로 공동 교섭을 추진한다. 강성 집행부 체제였던 2016년 이후 6년 만이다. 현대차·기아로서는 노조의 공동 교섭 추진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현대차·기아의 노조 새 집행부는 올해 임단협에서 공동 의제를 설정해 공동 투쟁과 교섭에 나서기로 결의하고 내부에 공유했다. 지난해 말 선출된 새 집행부가 사측과 첫 협상에서 교섭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현대차·기아 두 노조는 올해 공동 의제로 전기차 전환기를 대비한 일자리 사수 방안 등 고용 안정 대책 마련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과금 차별 철폐나 임금 인상 문제 등도 함께 논의해 사측에 공동 교섭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공동 교섭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사측 입장에선 공동 교섭에 참여할 법적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사측은 회사별 근로조건이 달라 공동 교섭에 임하기 어렵다고 밝혀 왔다. 새 노조가 공동 교섭을 강력히 요구하고, 이를 빌미로 파업 등으로 맞서면 노사 관계 악화가 우려된다. 2016년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17개 계열사 노조는 공동 교섭을 요구하며 투쟁을 예고했으나 사측 거부로 실제 교섭이 성사되진 않았다.
현대차그룹은 올해를 전기차 도약 원년으로 삼기 위해 전용 전기차 모델을 잇달아 선보였다. 2026년 전기차 글로벌 연간 판매 목표를 기존 100만대에서 170만대로 상향 조정하는 등 전동화 전환에 적극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 생산 설비 구축도 확대하고 있다.
전기차 전환 시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노사 관계의 숙제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부품 수가 30∼40% 정도 적어 생산공정 투입 인력도 줄어든다. 양사 노조 역시 전기차 공장 확보와 일자리 감축 반대를 선결 과제로 내세웠다. 업계에서는 현대차와 기아 모두 강성 지도부가 들어서면서 무분규 임단협 타결에도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2년간 현대차 노조를 이끌던 지도부는 쟁의권을 확보하면서도 실제 파업은 자제하는 교섭 전략이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