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과 한국에서 비대면 진료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확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일본에서 비대면 진료 서비스(라인닥터)를 운영 중인 라인헬스케어에 따르면 1월 비대면 진료 건수가 지난 10월에 비해 2.8배 상승했다. 일부 의원은 지난해 12월 대비 비대면 진료 건수가 8배까지 늘었다고 라인헬스케어는 밝혔다. 일본은 최근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0만명을 넘어서는 등 오미크론이 우세종화가 진행됐다.
국내도 비대면 진료 이용자가 크게 늘었다. 닥터나우는 지난 설 명절 기간 자사 비대면 진료 플랫폼 이용자가 9만4000명으로 지난해 추석보다 40배(3960%)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앱 이용 현황을 알 수 있는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닥터나우 1월 이용자는 15만8000명 수준으로, 오미크론이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인 11월 6만2000명에 비해 2배 이상 늘었다. 12월(11만1000명)보다도 이용자가 늘었다. 닥터나우 관계자는 “1월 이용자 대부분이 비대면 진료를 받았다”면서 “사용경험이 확장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라인닥터 사진=라인헬스케어](https://img.etnews.com/photonews/2202/1500658_20220208160603_227_0001.jpg)
국내 비대면 진료 건수는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방역당국은 이달부터 동네 의원급을 코로나19 진료에 참여시켰다. 전화 등을 활용한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다. 또 60세 이상,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확진자를 일반관리군 환자로 분류해 스스로 몸 상태를 체크하도록 했다. 비대면 진료 수요가 더 커졌다.
국내에서 비대면 진료는 원칙적으로 금지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시적 허용' 중이다. 국내를 제외한 미국, 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코로나19 이전부터 비대면 진료를 금지하지 않았다. 장지호 원격의료산업협의회 회장은 “제도로 막힌 부분이 뚫리면서 숨었던 수요가 쏟아져 나오는 것”이라면서 “유아를 기르는 맞벌이부부 등 비대면 진료를 경험한 이들이 늘어나며 '금지'가 원칙이었던 예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국회에는 비대면진료 허용을 전제로 다수 법안이 계류 중이다. 비대면 진료에 참여하는 동네 병의원이 늘어나며, 해당 제도에 부정적이었던 의협 등 의료업계의 분위기도 바뀌고 있다. 전면 반대에서 수가 적용, 인프라비용 보조, 횟수 제한 등 조건부 수용으로 논의가 가능하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도 대선공약 중 하나로 원격진료 합법화를 검토하고 있다.
<표> 한·일 비대면진료 플랫폼 이용자 추이 (자료:라인헬스케어·닥터나우)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