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자원무기화, 대책 세울 때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러시아가 유럽에 공급하는 가스관에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가진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첫 정상회담에서 천연가스를 러시아로부터 독일로 직접 수송하는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을 중단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제재 내용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노르트스트림-2'는 발트해 해저를 가로질러 독일과 연결하는 길이 1230㎞ 가스관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우크라이나를 통해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보내는 관 가운데 일부를 줄였고, 이는 유럽의 천연가스 부족 사태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한동안 천연가스 가격은 급등했고, 덩달아 대체재인 원유 가격도 가파르게 치솟았다.

바이든 대통령과 숄츠 총리가 이번에 역으로 '노르트스트림-2' 사용 중단으로 압박한 것이다. 독일은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망을 서방 LNG선으로 대체할 뜻을 내비친 셈이다. 글로벌 긴장감이 흐르면서 천연가스 수요·공급이 긴장의 뇌관으로 작용했다.

최근 글로벌 신냉전 체제의 특징은 '자원의 무기화' '경제 제재'로 요약된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 간 긴장 관계에서 양측은 각자의 자원과 경제 제재를 무기로 내세우며 서로를 압박했다. 호주와 중국 간 갈등에도 중국은 석탄 수입 규제로 압박했다. 결국 이는 우리나라의 요소수 부족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문제는 새롭게 불거진 냉전체제의 장기화 가능성이 짙다는 점이다. 또 이는 자원의 무기화와 공급망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 자원을 해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신중한 외교적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 새 정부를 책임지겠다고 나선 20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들도 이제 신냉전체제 시대 외교 해법을 제시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