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확인기관 접수 앞두고 '불패 의지' 다지는 은행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오는 23일 접수를 마감하는 방송통신위원회 본인확인기관 신청에 주요 시중은행이 대거 참여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와 자사 뱅킹 앱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요건으로 보고 있어 올해 지정심사를 반드시 통과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작년 본인확인기관 지정에서 한 차례 고배를 마신 KB국민은행이 올해 심사에 다시 도전한다. 자체 인증서를 출시하고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인정을 획득한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처음 본인확인기관 지정에 도전한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심사에 충실을 기하기 위해 이번 접수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본인확인기관 지정 필요성이 여전히 높은 만큼 준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다음 기회를 노리기로 하고 재도전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본인확인기관은 금융상품이나 온라인 서비스 등에 가입할 때 주민등록번호 대신 대체인증수단을 이용해 가입자 본인 여부가 맞는지 인증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기관이다. 사실상 주민등록번호와 동등한 자격인 대체인증수단을 다루므로 엄격하고 까다롭게 자격 심사가 이뤄진다.

작년 3월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 네이버가 심사에 도전했고 모두 통과하지 못했다. 같은해 하반기 토스가 재도전해 자격을 부여받았다. 국민은행은 작년 하반기 심사에 도전했으나 통과하지 못했다.

본인확인기관 지정은 수준 높은 보안요건을 갖춘 금융사도 한 번에 통과하기 힘들 정도로 평가가 까다롭다고 알려졌다. 방통위는 점수평가제와 조건부 지정 등 새로운 기준을 적용해 전반적으로 심사 기준을 완화했다.

시중은행들이 본인확인기관 지정에 도전하는 가장 큰 이유는 플랫폼 경쟁력 확보다.

뱅킹 앱 등에서 금융상품 가입을 위해 본인확인을 하려면 이통3사 패스(PASS) 앱을 이용하는 등 자사 플랫폼이 아닌 외부 플랫폼을 이용해야 한다. 별도 패스 앱이나 문자인증 등을 이용해 본인확인에 필요한 수단계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상품·서비스 가입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잦다.

은행이 자체 인증서를 활용한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자사 뱅킹 앱 편의성을 큰 폭 개선할 수 있다. 뱅킹 앱이 단순 금융앱을 넘어 생활 플랫폼으로 저변을 확대하고 있어 이 같은 서비스 혁신은 큰 무기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공기관과 타 금융사 등에도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자체 인증서와 플랫폼 저변 확대도 꾀할 수 있다.

이미 주요 은행들은 자체 인증서 출시-전자서명인증사업자 인정-본인확인기관 지정으로 이어지는 인증서 사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 형태로 운영해온 조직을 올 초 정식 조직으로 전환하기도 했다.

은행 한 관계자는 “한 번에 통과하기 어려운 심사이지만 정식 조직을 꾸리고 오랫동안 준비에 만전을 기한데다 심사요건도 완화된 만큼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올해 중순까지 이어지는 현장실사 등에 집중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