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 네트워크와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초연결망 확산을 시도한다. 5G 단독모드(SA)·5G 특화망(이음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등을 활용해 5G 적용 성공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공공과 민간에 확산한다는 접근이다.
과기정통부와 NIA는 2022년 지능형 초연결망 확산 및 선도 사업을 진행한다. 지능형초연결망은 6G, 5G, 사물인터넷(IoT)망, 와이파이(Wi-Fi) 등 네트워크 신기술을 소프정의네트워크(SDN)와 네트워크기능가상화(NFV) 등 지능형 기술을 기반으로 제어 및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인 5G, IoT망,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융합하면 공장, 학교, 오피스 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과거에는 5G스몰셀, 5G 기반 고정형무선접속(FWA) 등 각 기반 기술 적용 및 검증에 집중했다면 올해부터는 5G특화망(이음 5G), 5G SA기반 스몰셀, 가상화 기반 5G 코어 등 기술간 융합형 혁신 모델 발굴에도 박차를 가한다.
특히 과기정통부가 이음 5G를 기반으로 5G 융합서비스를 확산하기로 한 만큼 이음 5G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음 5G에 5G SA 스몰셀, 5G 모바일 핫스팟 등을 융합하면 높은 수준의 보안 통신 모델 등이 탄생할 수 있다. 또 5G 네트워크를 스몰셀로 구성하고, 모바일에지컴퓨팅(MEC)을 활용해 장애 자가 복구 기술을 구현하면 사용자 과밀 지역에 대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다. 이 같은 서비스는 영화관, 휴게소, 5G 차량사물간통신(V2X), 지능형 CCTV 등 다양한 민간 현장에 확산될 수 있다.
5G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혁신 서비스와 더불어 이와 결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반 자가구성·자가최적화·자가복구·보안강화 등 자율화 동적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네트워크 생존성 강화 모델 또한 발굴한다.
과기정통부와 NIA는 5G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기반 지능형 기술 적용을 통해 공공·민간 다양한 분야 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성 증대 등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