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수익성 떨어지는 교통수단 대안 부각

'자율주행 셔틀'이 수익성이 떨어지는 기존 교통수단 대안으로 부상했다.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미래 교통체계를 대비해 자율주행 셔틀을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일자리 감소 우려를 고려할 때 기존 운수업계와 경쟁이 아닌 상생 방안을 마련하는 게 주요 과제로 꼽힌다.

시흥시가 서울대 연구팀과 작년 말까지 서비스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마중. 중형 해치백 아이오닉 6대와 준중형 버스 e-카운티 1대를 운영했다. 시흥시를 구축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술검증을 위한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절차를 밟고 있다.
시흥시가 서울대 연구팀과 작년 말까지 서비스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마중. 중형 해치백 아이오닉 6대와 준중형 버스 e-카운티 1대를 운영했다. 시흥시를 구축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술검증을 위한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절차를 밟고 있다.

1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시, 대구시, 부천시, 횡성군 등이 국토교통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시범사업' 공모에 신청했다. 각 지자체는 포티투닷,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소네트 등 자율주행 업체와 컨소시엄을 이뤘다.

국토부는 지난해까지 시흥시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2차 시범사업을 진행할 지자체를 모집 중이다.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로 선정되면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가 아니더라도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하다. 총 2개 컨소시엄을 선정할 예정으로 각각 2년간 40억원을 지원한다. 컨소시엄은 자율주행차 6대를 제작해 서비스를 운영해야 한다.

지자체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에 관심을 갖는 건 이동 편의성 제고 때문이다. 심야 시간 배차 간격을 줄이고 대중교통 취약지역의 교통 불편을 해소해야 하지만 공급을 늘리기엔 비용 부담이 크다.

현재 교통수단인 택시, 버스의 수익성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택시는 최근 수익성이 낮아지면서 기사 감소와 함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다. 버스는 탑승객이 적은 시간대에도 지속 운행하면서 지자체 재정 지원 부담 확대를 야기했다.

자율주행 기술은 초기에는 규제상 운행 안전요원이 필요하고 대당 가격이 비싸다. 그러나 향후 자율주행차 대량 양산과 안전성이 확보된다면 운전자가 필요 없어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다.

현재 자율주행 업체들이 목표로 하는 레벨4 고등 자율주행은 특정 구역 내에서는 운전자 개입 없이 자동차 스스로 인지·판단·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셔틀에 적합하다. 서울시 경우에는 2023년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장거리 운행 자율주행 버스 100대를 심야시간대 위주로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자체가 풀어야할 과제도 있다. 바로 운수업계와 상생 방안이다. 자율주행 기술 도입이 장기적으로 택시, 버스 등 운수업계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해 말까지 1차 시범사업을 진행한 시흥시는 운수업계와 충분한 논의 후 운행을 시작한 바 있다. 월 이용객을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고 운행 시간·노선도 협의를 통해 정했다. 향후 자율주행 교통수단 편입 시 필요한 안전요원은 지역 운수업계 종사자로 우선 채용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선정 결과를 4월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추가 심사 기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5월로 연기했다”며 “자율주행 모빌리티 관련 다양한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