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대학 상경계열 교수들이 우리나라 경제의 3대 핵심 리스크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공급망 교란,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의 경착륙을 꼽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기관에 의뢰해 지난달 4~27일 수도권 대학의 상경 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새 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 리스크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응답자가 발생 확률과 위험성을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한 교수들의 과반은 '미·중 갈등 격화,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심화'의 발생확률이 높고, 우리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응답했다. 공급망 교란에 대비해 어떤 대응책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업구조의 개선' (16.5%)과 '해외자원개발 확대'(15.3%) 등이 뒤를 이었다.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에 대해서도 발생확률이 높고, 발생시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치명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수들은 가계부채의 효과적 해결방안으로 기준금리 인상(28.5%), '고용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방어력 강화'(17.1%) 등을 꼽았다.
'중국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해서도 발생 가능성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내다봤다. 중국경제가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수출 다변화 지원정책'(47.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 높은 산업 내수지원책 강화'(18.6%)가 뒤를 이었다.
이밖에 교수들은 과거 오일쇼크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부담으로 인한 제조업 위축' 가능성도 높다고 응답했다. 스태그플레이션 대응책으로는 '금리 인상 유지, 경기 침체보다 물가안정 주력'(42.5%)이 가장 많았고, 온실가스 제조업 위축 관련 대응책으로는 '탄소감축 기술 지원 확대'(33.8%)가 가장 많이 꼽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신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복합 경제위기 상황에서 출범했다”라며 “발생가능성이 높고 우리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우선 관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