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합적 추론이 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AI)다. 기존 AI보다 수백배 많은 대용량 데이터를 학습해서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한다. 한 분야에만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람의 뇌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산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슈퍼컴퓨팅 인프라가 초거대 AI 등장의 토대다. 미국 AI기술 연구재단 오픈AI가 2020년에 선보인 자연어 처리모델 GPT-3가 대표적이다. GPT-3는 1750억개에 이르는 매개변수(파라미터)로 학습했다. 기존 AI보다 사람 뇌에 더 가깝게 설계돼 사전에 정의된 답변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는 GPT-3로 작성된 칼럼이 게재되기도 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파라미터를 보유한 AI는 LG AI연구원의 '엑사원'이다. 엑사원의 파라미터는 약 3000억개에 이른다. 멀티모달인 엑사원은 텍스트를 이미지로 만들거나 이미지를 텍스트로 설명할 수 있다.
초거대 AI는 텍스트에 초점을 맞춘 '언어모델', 영상·이미지·텍스트를 모두 이해하는 '멀티모달'로 구분된다. 카카오브레인은 한국어에 특화된 언어모델 '코지피티'(KoGPT), 멀티모달 '민달리' 등을 개발했다. 민달리가 그린 그림은 대체불가능토큰(NFT)로도 발행돼 주목받았다.
네이버가 개발한 '하이퍼클로바'는 2040억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했다. 창의력을 갖춘 AI를 개발, 창작자와 중소상공인(SME)을 위한 쉽고 유용한 툴을 만들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자연어 대화를 지원하는 성장형 AI 서비스 '에이닷'(A.)을 출시했다. SK텔레콤은 GPT-3를 기반으로 한국어 특화 버전을 자체 개발, 일상 대화와 이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작업 처리를 자연스럽게 결합해서 이를 서비스로 구현했다.
KT 역시 초거대 AI 기반의 진화한 한국어 언어 모델을 적용한 '공감하는 AI'를 올해 안 상용화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AI 콘택트센터를 개발하고, 사람처럼 연속 대화가 가능한 '멀티턴 전문상담'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
박정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