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가 국내 최초로 제주에 지도기반 계통감시 체계를 구축했다. 전력계통과 기상 정보와 함께 전기차 등 분산자원 정보까지 통합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와 분산자원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운영 효율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전력거래소는 지난달 제주지역에 국내 최초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도기반 계통감시 체계를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전력거래소는 그간 계통 운영 경험과 중소기업 호디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도기반 계통감시 기능을 개발했다. 특히 이번 계통감시 기능은 △전력계통(발전·송전) △기상(비구름·낙뢰) △분산자원(풍력·태양광·전기차 충전정보)을 통합했다. 각 영역을 아우르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감시체계를 구축해 복잡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과거 실시간 계통운영자는 대단위발전소(중앙급전발전)와 고전압 송전계통 감시·통제만으로 전력계통을 운영했다. 석탄이나 액화천연가스(LNG), 원자력 발전 등 대규모 발전소를 기반으로 전력계통 체계가 운영된 셈이다. 그러나 에너지전환에 따라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서 기상여건이 중요해졌고 산재된 분산자원 출력 등 정보와 연계한 분석이 필요하다.
전력거래소가 이번에 국내 최초로 도입한 지도기반 계통감시 체계는 제주전역 태양광 발전소를 위치에 기반한 출력변화를 기상상태와 연계해 감시하고 전력계통에 발생하는 파급 영향을 정보로 만들어 표출한다. 계통운영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제주도는 탄소없는 섬(CFI) 정책으로 변동성 자원인 풍력·태양광 설비 비중이 지난해 기준 46.5%에 도달할 정도로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다. 제주의 연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18.3%, 1시간 최대 63.7%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제주도를 유사 수준 국가·지역인 포르투갈, 스페인, 그리스, 독일, 이탈리아, 미국 캘리포니아, 일본 큐슈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유입비중 3단계 지역으로 분류했다.
전력거래소는 제주도의 현 상황이 신재생 에너지가 전력계통 운영패턴을 결정짓는 수준까지 유입됐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거래소 제주본부를 기준으로 전력계통 운영체계 고도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18년도 국내 최초 제주 신재생 발전량 예측시스템(통합관제시스템), 지난해에는 제주 온라인 전력수요예측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전환과 관련된 도전적 과제들은 가까운 미래 국가 차원 이슈로 확장될 것”이라면서 “전력거래소가 제주지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시도와 해결책이 대한민국 전력산업 성장의 표준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