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해 광주·전남지역 기업의 부담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공회의소(회장 정창선)가 지난달 20~30일까지 광주·전남지역 중소·중견기업 122개 업체를 대상으로 '최근 지역기업의 경영 동향 및 대응 실태조사'를 시행한 결과, 지역기업의 96.7%가 '원자재가격 상승에 경영상 부담을 느낀다'라고 답했다.
지역기업들은 '원재료비 증가(85.6%)' 외에도 '물가 상승에 따른 경비 증가(34.7%)', '노무비 증가(20.3%)' 부분에 대해서도 경영상 많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영환경으로 인해 최근 코로나19의 사회적 통제가 다소 완화되었음에도 올해 상반기 업황은 '코로나 이전보다 악화되었다(45.1%)'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하반기에 가장 우려되는 대내외 환경 변수로도 기업들은 '원자재가격 상승'이 87.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경기 둔화(55.7%)', '금리 인상(39.3%)', '최저임금 인상(29.5%)', '환율 변동성 심화(28.7%)' 등이 우려 요인이라고 답했다. '별다른 우려 사항이 없다'라고 응답한 비중은 0.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로 반영 받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68.9%는 '일부 반영 받고 있다'라고 답했으며, 27.0%는 '반영 받지 못하고 있다', 나머지 4.1%만이 '전부 반영 받고 있다'라고 답했다.
앞으로도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반영 받지 못할 시 대응 계획으로는 '마땅한 대응방안이 없다(38.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대체 원자재 발굴(27.8%)', '생산량 감축(11.1%)', '인력 감축(11.1%)', '거래처 변경(8.3%)', '공장 가동 중단(5.6%)' 등이 뒤를 이었다.
원자재 등 가격 상승 시 하도급법, 상생협력법 등에 따라 업체가 직접 조정을 요청하거나 조합을 통해 대행 협상할 수 있는 '납품(하도급)대금 조정 협의제도'에 대한 인지 여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 기업의 54.9%는 '잘 모른다'라고 답했으며, '알고 있다'라는 응답은 36.9%, 나머지 8.2%는 '전혀 모른다'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대금 조정 협의제도 활용 경험 및 계획에 대해서는 '활용한 적 없으며 앞으로도 계획 없다(56.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활용한 적 없으나 향후 활용 예정(35.2%)', '활용한 적 있으며 협의 개시함(6.6%)', '활용한 적 있으나 협의 미개시/거부됨(1.6%)' 순으로 응답했다.
납품대금 조정 협의제도를 활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위탁기업과의 원만한 관계 유지를 위해서'라는 응답 비중이 55.4%로 가장 높았다. '복잡한 요건 및 조정절차(16.1%)', '협의 결과 불확실(13.4%)', '거래 단절이나 보복 조치 우려(8.9%)', '공급원가 정보 공개에 대한 부담(8.0%)'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원자재가격 상승 외에도 기업들은 현재 많은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인력 확보유지 어려움(56.6%)', '경기 부진(43.4%)'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인건비 부담(35.2%)', '업계 경쟁 심화(21.3%)', '자금조달 애로(18.9%)', '제품 단가 하락(12.3%)', '판로개척 애로(10.7%)'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지역기업 경기 회복과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분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물가원자재가 안정(70.5%)'이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금융 및 세제 지원 강화(46.7%)', '경기 부양대책 마련(33.6%)', '인력 수급여건 개선(27.9%)' 등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에도 불구하고 기업 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와중에 원자재값까지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역기업들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면서 “기업들이 대내외적 경영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물가환율 안정과 함께 금융지원 등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기업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