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디지털전환 뒤처진 저축은행

[ET톡]디지털전환 뒤처진 저축은행

네이버, 카카오를 비롯한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로 은행, 보험, 카드, 증권 등 전 금융권이 디지털 대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단순 비대면 업무를 확대하는 것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을 업무와 상품, 서비스 등에 적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이 우리 사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은 것을 볼 때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이런 사회적 변화에도 저축은행만은 금융권 혁신 흐름에 뒤처진 모양새다. 저축은행중앙회가 업계 공동 플랫폼 구축, 생체인증 서비스부터 다양한 IT사업 발주에 나서면서 업계 전체를 지원하고 있지만 개별 저축은행의 움직임은 사실상 멈춰 있다. 최근 저축은행 디지털 혁신이라곤 이제야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구축 또는 단순 개편했다는 내용에 불과하다.

다양한 비금융 서비스 외에도 마이데이터, 사설인증, 데이터 전문기관 등에 적극 뛰어들고 있는 다른 금융사와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실제 금융사들은 최근 은행이 배달 앱 시장에 뛰어드는 등 실험에 분주하다. 이어 '데이터 사업'이란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눈치 싸움도 치열하다.

반면 개별 저축은행의 경우 디지털 전환에 소극적이다. 특히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이런 경향이 더 짙었다. 중소형 저축은행 대다수는 전문경영진보다 오너 비중이 크다 보니 대출만으로 수익을 거두는 데에 익숙하다. 비용이 드는 인프라 투자 등을 꺼리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올해 초 시작된 마이데이터 사업 역시 본허가를 받은 저축은행으로는 웰컴저축은행이 유일하다. 이렇다 보니 업계 일각에선 저축은행 규모에 따라 별도 사업 집행의 필요성도 역설하고 있다.

기자와 만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경우 여전히 단순 대출에 수익을 얻는 구조가 크고,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이런 분위기가 더 짙다”면서 “이런 분위기에 디지털 예산과 인프라 투자 등에 인색한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선 이런 차이로 저축은행 업계가 향후 도태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인터넷전문은행이 규모를 키우면서 이미 저축은행의 중금리대출 등 시장 상당수를 잠식했다. 게다가 이들이 최근 대안신용평가모형까지 구축하고 있어 저축은행 우량 고객이 상당수 이탈할 가능성도 짙어졌다.

최근 모든 산업이 디지털 대전환을 맞았고, 새로운 경쟁자 출현으로 각 업권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저축은행도 다르지 않다. 지난해 79개 저축은행 자산만 100조원을 넘었고,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만 2조원을 돌파했다. 다만 이런 성장에도 과거와 동일한 사업 모델에 여전히 의존하는 사업구조는 아쉬울 따름이다. 저축은행이 현재 보이는 실적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위한 혁신에 함께하길 기대한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