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76.5%, 해외자원개발 사업 조직·인력 줄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해외자원개발 사업 관련 조직 및 인력 규모해외자원개발 사업 기조가 위축된 외부 원인

해외자원개발 기업의 76%가 최근 10년 새 조직과 인력 감소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기업 경쟁력도 선진 글로벌 기업의 절반 수준으로, 산업 활력 강화를 위해 일관된 정책기조 확립과 자금지원 확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과거 10년간(2011~2021년, 실적기준) 해외자원개발 사업 경험이 있는 주요 29개 기업을 대상(응답률 69.0%)으로 '해외자원개발 주요 기업 역량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서 해외자원개발 사업과 관련해 응답 기업의 76.5%가 10년 전보다 사내 조직과 인력 규모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기업 4곳 중 3곳은 해외자원개발 생태계의 전반적인 여건이 악화(매우 악화 35.0%, 다소 악화 40.0%)됐다고 응답해 해당 산업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76.5%, 해외자원개발 사업 조직·인력 줄었다

기업의 해외사업개발 관련 사업 기조도 3곳 중 2곳이 위축(매우 위축 47.4%, 다소 위축 21.1%)됐다고 응답했다. 사업 기조가 위축된 주요 원인에 대해 외부요인으로는 '국가 정책 기조의 잦은 변화'가 4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원 가격의 변동성 심화(23.0%)'가 뒤를 이었다. 내부요인으로는 '자금 조달 애로(30.8%)'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부정적 전망(30.8%)' '수익성 악화(23.0%)' 등이다.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기업의 경쟁력도 선진 글로벌 기업과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 글로벌 기업을 100이라 가정했을 때 우리나라 기업의 전반적인 해외자원개발 역량은 52.8(응답 평균) 수준이라고 답했다. 해외자원개발 산업 분야의 기술, 제도, 인프라 등 전반적인 경쟁력 수준에 대해서는 기업의 95.0%가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내 주요국(미국, 일본, 호주)에 비해 취약(매우 취약 35.0%, 약간 취약 60.0%)하다고 했다. 글로벌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해야 할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경쟁력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는 '일관성 있는 정책기조 추진'이 32.5%로 가장 많았다. '자금지원'이 27.5%, '세제지원'이 17.5%로 뒤를 이었다. 정책기조의 일관성을 제외하면 주로 자금 분야(융자, 보조금, 세제) 등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해외자원개발은 공급망의 시작이자 토대로 국가 중추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간 소홀한 면이 있었다”면서 “세계 각국이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는 지금이 우리나라도 다시금 해외자원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절박한 시기”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