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석 대신 캐리어 거치대가 설치된 여행객용 전기차' '교통약자를 위한 생체신호 분석 기술을 갖춘 차량 시트'
현대차그룹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동 'UX 스튜디오 서울'에서 'UX 테크데이'를 개최하고 2025년 내놓을 목적기반모빌리티(PBV)의 콘셉트와 개발 방향을 공개했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제품통합개발담당 부사장은 “고객은 더 다양하고 특별한 경험을 미래 모빌리티에 기대한다”면서 “고객과 소통과 공감을 통해 새 모빌리티 환경에서 최고의 사용자 경험(UX)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현대차그룹은 현재 개발 중인 PBV 테스트 벅 등을 소개했다. 테스트 벅은 사용성 검증 등을 목적으로 사전 제작한 모형이다. 김효린 제품UX총괄실 상무는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기 위해 사람(Humanistic), 첨단 기술(High-Tech), 조화(Harmony)에 집중하고 있다”며 “세 가지 원칙을 기본으로 총체적 사용자 경험(HUX)을 개발하고 UX 스튜디오를 통해 이를 실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차량 초기 콘셉트 개발을 시작으로 양산 직전 상품성 검증까지 고객을 초청해 UX에 대한 의견을 듣고, 이를 상품에 반영하기 위해 만든 연구개발 공간이다. PBV 초기 개발 과정에서 콘셉트 개발을 위해 나무로 만든 '스터디 벅'과 기술을 실제 구현한 '엔지니어링 벅'을 전시, 차량 초기 콘셉트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체험할 수 있다.
엔지니어링 벅은 2025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이 기반이다. 여행객을 실어 나르는 '공항 픽업용 PBV'가 콘셉트다. 조수석 대신 캐리어 거치대를 마련하고 트렁크 대신 탑승 공간을 뒤쪽까지 넓히는 등 내부 공간을 차별화한 것이 특징이다.
UX 스튜디오 서울에는 현대차그룹이 고객 중심 UX를 개발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진행 중인 연구개발 결과물이 함께 전시됐다. 현대차·기아와 미국 MIT 미디어 랩이 공동 개발한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는 시트가 승객 몸을 감지한 후 체형에 맞게 시트 모양을 만들어준다. 불특정 다수 승객을 태우는 PBV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긴 벤치 모양 좌석을 승객 수와 체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고도 자율주행 차량 탑승객 편의성을 높여주는 '모드 변환 콕핏'을 선보였다. 드라이브 모드와 오피스 모드, 릴랙스 모드 등 세 가지 모드에 따라 조명과 시트 각도, 디스플레이와 조작계 등 사용자에게 최적화한 UX로 바뀐다.
현대트랜시스는 사용자별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을 전시했다. 교통약자를 위한 생체 신호 분석 기술 등 탑승객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맞춰 실내 환경을 최적화한 10가지 통합 시나리오 모드를 구현했다. 전시장 내 'UX 메타 스튜디오'에서는 참석자들이 가상현실(VR)을 통해 온라인 UX 리서치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했다.
류지성 바디개발센터장 전무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 고객의 더 나은 경험을 위해 바디 기술도 진화하고 있다”면서 “운전석 독립 파티션과 실내 캐리어 수납 모듈 등 PBV에 적용을 목표로 다양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신사업으로 PBV를 제시한 기아는 올해 2월 레이 1인승 밴 모델을 출시하고, 5월에 니로 플러스를 공개하는 등 기존 모델을 활용한 파생 PBV를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2025년 양산을 목표로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활용한 PBV 모델을 개발하고, 연간 15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국내 첫 PBV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