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진출 기업 96.5% "리쇼어링 계획 없다...'노동규제' 걸림돌"

해외 진출 기업 중 국내 복귀 계획이 있는 기업은 3.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쇼어링을 저해하는 1순위 규제로는 '노동 규제'가 꼽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해외 진출 기업 306개사를 대상으로 '해외 진출 기업의 리쇼어링 촉진을 위한 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7일 밝혔다.

해외진출 기업의 리쇼어링 계획 (자료 경총)
해외진출 기업의 리쇼어링 계획 (자료 경총)

응답기업 93.5%는 리쇼어링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해외 진출 기업들은 복수응답이 허용된 리쇼어링 저해 요인으로 노동규제를 29.4%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법인세 등 세제(24.5%), 환경규제(16.7%), 수도권 및 입지규제(13.1%) 순으로 집계됐다.

리쇼어링 선호 지역은 수도권이 47.9%로 수도권 이외 지역(42.2%)보다 높게 분석됐다. 경제자유구역은 13.7%에 그쳤다. 리쇼어링 선호 지역으로 수도권이 꼽힘에도 현 제도상 수도권은 공장 신·증설이 어렵고 정부 국내 복귀 기업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응답 기업 대다수는 현 국내 복귀 기업 지원 제도를 잘 모른다(82.4%)고 답했다. 제도를 알고 있는 기업은 17.6%로 나타나 제도 인지도가 낮았다. 제도 효과 역시 작다고 평가한 비율이 72.3%에 달했다.

리쇼어링 촉진을 위한 정책 과제 (자료 경총)
리쇼어링 촉진을 위한 정책 과제 (자료 경총)

리쇼어링 촉진 정책 과제로는 법인세·관세 감면 등 세제지원 확대(31.0%)를 가장 선호했다. 이어 고용·투자·이전 시 정부 보조금 확대(27.8%), 대출과 투자 등 금융 지원(21.6%), 유턴기업 지원 대상 확대(9.8%), 입지특례 제공(7.8%) 순이었다.

김재현 경총 규제개혁팀장은 “해외 진출 기업 리쇼어링 촉진을 위해 노동규제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며 “연공급 중심 고임금 체계를 근로자 생산성에 부응하는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로 개편하고 수도권 규제 완화와 세제지원 확대 등 파격적인 리쇼어링 유인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다은기자 dand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