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3고 리스크' 파급 효과가 본격화돼 내년 성장률이 1.8%로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물가·환율 안정 필요성 등에 따라 최종 기준금리는 3.75%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이같은 분석을 담은 '2023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내년도 국내 경제가 지정학적 리스크, 정책적 리스크, 구조변화 리스크 등이 맞물리는 가운데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파급효과가 본격화돼 성장률이 1%대 후반으로 둔화된다고 예상했다.
시중금리와 원·달러 환율은 내년 1분기 이후 대내외 통화긴축 기조가 완화돼 점진적인 하향 안정세를 나타낼 것으로 봤다. 하지만 고물가 고착화 위험,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 불안요인이 이어져 변동성 확대 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예상치 못한 러·우 전쟁 발발과 그에 따른 서방과 러시아의 대립이 심화하고 미·중 간 패권 경쟁도 격화되면서 진영화 논리가 강화되는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글로벌 통화긴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재정정책 역시 재정 건전화를 위해 긴축 기조로 선회하면서 정책발 리스크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2023년에는 금융 혼란 가중과 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급망 재편 등 구조적 변화 속에 새로운 균형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올해 경제 성장률이 2.6%(추정)로 회복세가 약화되고 2023년에는 고물가 고금리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확대돼 경제 성장률이 1.8%로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는 서비스 소비 여력과 해외여행 증가 등에 힘입어 회복세를 잇겠지만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 부채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 등으로 증가율은 2.2%(2022년 4.1% 추정)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안정과 경기하방 압력 등으로 점차 둔화하겠으나 러시아발 원자재 수급불안, 서비스 가격의 하방경직성,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을 감안할 때 고물가 흐름(2022년 5.3%→2023년 3.5%)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정유탁 연구위원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고물가와 성장 부진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주요국의 고강도 긴축, 물가·환율 안정 필요성 등을 감안할 때 내년에도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했다. 최종 기준금리는 3.75%로 예상했다.
다만 대내외 추가 금리인상이 상반기에 종료되고 글로벌 경기가 하강 국면을 나타내면서 시중금리가 점진 하락하는 가운데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
-
배옥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