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국발 배터리 소재 재편 속도 내야

미국이 19일(현지시간) 전기차 핵심인 배터리 원료 생산 확충에 4조원(약 28억달러)을 투자하고 동맹국과 함께 핵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백악관은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자체 투자까지 포함한 13조원(90억달러)을 리튬, 흑연, 니켈 등 배터리 핵심 원료 생산에 투입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연간 200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공급할 소재 공급망이 구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열린 초당적 인프라 법 행사에서 발표를 듣고 있다.(AFP 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열린 초당적 인프라 법 행사에서 발표를 듣고 있다.(AFP 연합)

이날 발표는 조 바이든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즉 중국산 배터리 배제 전략에 대한 후속 조치다. IRA는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확대하겠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채굴됐거나 가공된 소재·부품을 일정 비율 미만으로 사용해야만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게 조건이어서 제조사들의 '탈중국'을 유도한다.

중국산이 빠진 자리를 동맹들과 새롭게 채우겠다는 미국의 계획은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다. 미국은 한국, 호주, 일본 등이 참여하는 '핵심 광물 안보 파트너십'(MSP)과 연계해서 공급망을 재편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국내 배터리 업계의 중국산 소재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것이 문제다. 전구체나 천연 흑연과 같은 양극재와 음극재 중간재 및 원료의 중국 의존도가 80~90%에 육박한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그동안 가격경쟁력 높은 중국산 중심으로 생산체계를 구축한 결과지만 이제는 역으로 부담이 됐다.

소재는 부품을 교체하는 것과 달라 연구개발이나 생산에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된다. 미국의 공급망 동맹 울타리 안에는 한국만 있는 것도 아니다. 다변화와 동시에 속도전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