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로 눈돌리는 국내 IT업계]<4>산·학·연·관 연계 유연성 확보로 IT 인재 부족 고질병 해결해야

국내 정보기술(IT) 인재 양성과 중소기업 취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일부 IT 기업이 당장 부족한 인력 수급을 위해 베트남 등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근본 대책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단기 인력 충원을 위한 기업의 자구책으로 IT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를 더욱 가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19로 시작된 전 세계적인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안정적인 인력 수급 문제도 고려해 봐야 한다.

베트남의 예를 봐도 기업 등 급격한 디지털화로 자국 내 IT 인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수요와 공급 불균형이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 기업이 개발자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열을 올리는 추세다. 결국 해외를 통한 국내 만성적 IT 인력 부족 현실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결론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최근 IT 인재 양성 계획을 내놓으며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최근 디지털 인재 양성 계획 발표를 통해 2026년까지 인재 100만명 확보를 선언했다.

다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 대책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부터 이른바 '네카라쿠배당토'로 불리는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유수 IT 기업만을 목표로 취업을 미루는 전공자들을 개발 현장으로 곧바로 끌어내는 것은 다른 문제라는 의견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IT 전공자 다수가 졸업 이후 현장으로 투입되는 취업 결과물이 부족하다보니 취업률에 민감한 대학에서는 이들을 다시 대학원으로 진학시키는 분위기가 만연한 상황”이라며 “이는 전공자 개인 문제라기보단 대학을 취업률로 평가하고 지원하는 정부의 각종 규제에 따른 것으로 큰 틀에서 교육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산·학·연 연계를 통해 전공 벽을 허물고 IT 융합 교육을 체계화함으로써 인재 양성을 촉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른바 '미니 학위' 제도를 활성화, 인문·사회 등 IT 비전공자에 일정 수준 이상 IT 교육을 받는 제도를 지원 및 정착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재 교수 인력 외 추가적 수요는 기업체 출신 은퇴 기출자 등을 활용함은 물론 교육 인프라 또한 기업체 시설 활용 방안을 연계하는 협력 체계 활성화를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형태는 IT 인재 육성 선진화를 이룬 해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에꼴 42'는 프랑스 통신기업 프리(FREE) 그자비에니엘 회장이 설립한 교육기관으로 IT 실무에 필요한 프로젝트 기술을 기업을 통해 제공한다. 중국 역시 포털기업 바이두가 설립한 자체 아카데미를 통해 매년 관련 인재 10만명 배출을 목표로 시동을 걸었으며, 국내 IT 기업의 해외 인재 채용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는 베트남 또한 호치민에 산학협력 모델인 꽝쭝소프트웨어시티(QTSC)를 조성, 주요 IT 인력 공급원으로 운영 중이다.

전문가들은 육성책 외에도 MZ세대가 선호하는 '워라벨(일과 삶의 균형)'을 만족시키기 위한 정부와 기업 노력도 요구된다고 조언한다. 지방 인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지방 중심으로 안정적인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등 정부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기업도 근무시간이나 복지시스템 등 정비를 통해 MZ세대가 근무하고 싶어 하는 업무환경을 갖출 수 있도록 범차원적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김형식 충남대 SW중심대학사업단장은 “IT 인력 부족 현상은 결국 정부와 교육기관, 기업 간 유연한 협력 체계를 통해 풀어갈 수 있다”며 “대학이 융합학과, 연계전공 등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및 규제 완화가 뒷받침됨과 동시에 기업이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기업이 현장 교류 기회를 확대하는 등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교육 인프라가 빠르게 준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