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헬퍼 T세포를 활용한 차세대 면역 항암 기술 개발

예경무 DGIST 교수·백문창 경북대 의대 교수, T세포 유래 항암치료 후보물질 개발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 지원으로 수행
연구성과 '바이오 머티리얼즈(Biomaterials)'에 게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예경무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팀과 백문창 경북대 의과대학 교수팀이 공동으로 신개념 면역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존 화학항암제는 암세포를 단순히 사멸하는 정도에 그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헬퍼 T 세포(CD4+ T cells)에서 분비된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기술로 환자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흑색종과 같은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암세포 억제까지 가능한 기술이다.

현재까지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치료 방법은 주로 중배엽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면역억제 치료나 일반 세포외소포체에 화학항암제를 넣어 특정 부위에 전달하는 이른바 약물 전달 목적으로 개발됐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연구를 통해 T세포에서 유래된 세포외소포체가 항암 효능(종양 발달 억제)이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헬퍼 T세포를 활용해 차세대 면역 항암 기술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예경무 DGIST 교수, 신상희 석박통합과정생, 정인성 석박통합과정생
헬퍼 T세포를 활용해 차세대 면역 항암 기술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예경무 DGIST 교수, 신상희 석박통합과정생, 정인성 석박통합과정생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의 일종인데 헬퍼 T세포는 다른 면역 세포들을 활성화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세포독성 T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종양 세포, 기능이 손상된 세포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항암 기능의 잠재력이 매우 높지만,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던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에 주목했다. 이것이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과 증식을 유도해 결국 흑색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헬퍼 T세포에 인터류킨-2와 같은 면역 활성 유도 사이토카인을 처리하면 세포외소포체가 보다 더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냈다.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 생산 모식도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 생산 모식도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는 다양한 난치성 암 치료 외에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단독 치료나 기존 화학 항암제나 면역 항암 항체 치료제 등과 함께 활용될 수 있어 면역항암제로서의 응용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경무 교수는 “신개념 항암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를 수행한 경북대 의과대학 백문창 교수님, DGIST 신상희 학생, 정인성 학생에게 감사드린다. 이번 기술이 난치성 암 치료의 새로운 돌파구로 활용돼 암 환자에게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통해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