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몸을 투명하게 만들 수 있는 유리개구리(glassfrog)의 비밀이 밝혀졌다. 포식자를 피해 투명체가 될 때 눈에 잘 띄는 혈액의 적혈구를 간(肝)에 숨기는 방식이다.
미국 듀크대학의 개구리 전문 생물학자 카를로스 타보아다 박사 연구팀은 북부 유리개구리(Hyalinobatrachium fleischmanni)의 투명 위장술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해양 환경에서는 유리개구리처럼 투명해지거나 피부 색깔이 바뀌는 생물이 꽤 있지만 육지에서는 아주 드물다. 혈관을 따라 몸을 도는 혈액 속 빨간 적혈구가 식물이 반사하는 녹색 사이에서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유리개구리가 투명해질 때 혈액 속 적혈구가 사라지는 듯한 현상을 목격했다. 적혈구들은 반사막에 싸여있는 내부 장기 중 한 곳에 저장되는 것으로 추정됐으나, 이를 실제로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유리개구리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비침습성 이미지 기술인 '광음향현미경'(PAM)을 활용했다. 레이저빔을 쏘아 생체 분자가 이를 흡수, 초음파를 생성하는 것을 토대로 이미지를 얻는 방법이다. 조영제를 투입하지 않아도 돼 유리개구리의 적혈구를 찾아내는데 적합했다.
연구팀은 유리개구리가 배양접시에 거꾸로 매달려 잠을 잘 때 녹색 레이저를 비추고 이를 통해 생성되는 초음파를 포착해 적혈구의 위치를 확인했다.
그 결과 순환 적혈구의 90% 가까이가 제거돼 간에 저장되는 것이 드러났다. 이 적혈구들은 유리개구리가 활동을 시작하면 간에서 흘러나와 순환기를 돌고 휴식기에는 다시 간에 집적됐다.
다만 연구팀은 유리개구리가 엄청난 양의 적혈구를 간으로 밀어 넣는데도 치명적인 응고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알아내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혈구가 서로 부딪히면 응고가 일어나고, 혈전(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이 생긴다.
듀크대 생물학 교수 쇤케 욘센은 "이 과정에서 큰 혈전이 생기는 것을 피한다는 점은 중요한 결과"라며 "이를 이해하고 인체의 혈관 치료에 응용하는 것은 차기 연구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양민하 기자 (mh.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