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업계 '재택근무 시대' 저무나

카카오가 쏘아올린 '전면출근제'가 플랫폼 업계 근무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엔데믹 시대를 맞아 출근 비중을 더 늘려 효율성 제고에 나서거나 재택근무 대신 거점오피스를 두고 출근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부터 당근마켓이 주 3일은 사무실 근무, 주 2일은 자율 재택으로 근무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지난해까지는 코로나 사태로 전면 재택근무제를 시행하면서 필요한 경우 주 1일정도만 출근해 왔다.

플랫폼 업계 '재택근무 시대' 저무나

당근마켓측은 “건강한 조직 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해나가기 위해서는 비언어적인 소통이 수반돼야 하고, 가벼운 대화로 시작되는 친밀감과 신뢰 형성이 팀웍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면서 “협업하는 시간과 개인이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업무 시간의 장점을 모두 극대화 하기 위해 재택과 출근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번 근무제 변경으로 업무 효율은 물론 구성원간 소통 활성화를 통해 조직 문화 발전과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규모가 작은 플랫폼 기업들은 신규 입사자의 적응과 팀웍을 위해 출근제를 계속 유지하려는 곳이 많다. 뮤직카우의 경우 전면 출근제를 하되 새해부터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8~10시 사이 출근, 8시간 근무 후 퇴근하는 것을 전제로 자유롭게 출퇴근 시간을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재택근무의 대안으로 '거점오피스'를 두고 활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출퇴근 스트레스를 없애 '오피스퍼스트' 정책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인, 디노마드, 탈잉 등이 거점오피스를 두고 직원들이 자유롭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도입했지만, 업무 처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소통 한계점도 드러났다”면서 “각 기업의 특성에 맞춰 활용가치가 높은 근무제를 찾아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