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보고]콘텐츠 모든 산업에 필요…2023년은 교육개혁 원년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과 이주호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오른쪽)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3년 업무보고 사후브리핑을 하고 있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과 이주호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오른쪽)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3년 업무보고 사후브리핑을 하고 있다.

“콘텐츠는 콘텐츠산업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모든 산업에서 강조해야 하는 분야다. 사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복지·연금·사회 개혁은 필요하고 디지털 심화 시대에 교육개혁 역시 필수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23년 업무보고 사후브리핑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 발언을 이같이 공유했다.

문체부는 콘텐츠산업이 다른 산업의 해외 진출 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 콘텐츠와 연관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지속 마련할 계획이다. 콘텐츠 수출이 늘고 영향력이 확대될 때마다 연관산업 수출도 증가하는 것은 한국수출입은행 분석을 통해 입증됐다.

윤 대통령은 다른 부처에서도 정책을 추진할 때 콘텐츠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부처별 정책을 홍보하고 추진할 때 정책 철학을 국민에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완성도와 내용에 신경을 쓰자는 취지다.

박보균 장관은 “윤 대통령은 K-콘텐츠를 로컬 콘텐츠로 키워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균형 발전 강화에 이바지해야 한다”며 “자유 사회는 인간 존중, 문화소양 교육이 중요하고 연대가치 확대를 위해 장애예술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해외에서 K-컬처 인기를 지속하기 위한 정책적 고민과 함께 변화에 선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K-콘텐츠 등에 대한 국내 소비가 글로벌 진출 원동력이라는 인식을 갖고 국내 시장에서 산업이 원활히 돌아가야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도 역설했다. 문체부는 금융시스템과 법·제도에 기반한 콘텐츠 지원을 강화하고 국민이 실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한다.

문체부는 청와대를 중심으로 박물관·미술관, 통인동·서촌·광화문 등 인근 역사·문화·관광자원을 스토리텔링으로 엮은 '역사문화관광 클러스터'를 조성해 한국만의 관광 브랜드를 육성한다. '다시 찾고싶은 편리하고 안전한 나라'를 목표로 올해 1000만명, 2027년 3000만명 방한 관광객을 유치할 예정이다.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교육부 2023년 업무보고 사후 합동 브리핑에서 두 부처 실·국장들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교육부 2023년 업무보고 사후 합동 브리핑에서 두 부처 실·국장들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교육부는 디지털 중심 변화된 시대에 걸맞는 교육으로 전환을 추진한다. 2023년을 교육 개혁 원년으로 윤석열 정부 내 개혁을 완수할 수 있게 정책을 정비하고 적용할 방침이다.

이주호 부총리는 “윤 대통령은 업무보고 중 '디지털 심화 시대'에 맞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위주의 교육으로 바뀌어야 하고, 교사 역할도 단순히 지식 전달자가 아닌 코치 등 학생 맞춤형 교육자 역할로 전환할 것을 주문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 교육과정이 산업화 시대 일률적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바탕으로 개개인 적성에 맞는 교육, 문화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교육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4차 산업혁명·융합 시대에 맞춰 대학교육 등 고등교육의 혁신 필요성도 거론됐다. 이 부총리는 “혁신에 앞장서는 대학을 중심으로 정부가 과감하게 지원하고 근본적 역할을 이끌어낼 것”이라며 “지역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역 대학 위주 지원으로 선순환도 이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올해 디지털 기반 교과서 사용기준을 확립하고 하반기부터 디지털 교과서 공적 개발을 시작해 2025년부터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준비한다. 선도모델을 시범적용할 학교를 선정해 충분히 확인하고 인공지능(AI) 교육도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한다. 공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과 AI 활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또 교육전문대학원 설립을 통한 새로운 교원 양성을 시도한다. 연내 교원 양성 방안 연구를 마무리하고 상반기 실행방안을 마련, 2024년 두 개 대학에서 시범 운영을 할 계획이다. 달라지는 상황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 혼선 최소화를 위해 학부생 대상 임용고시는 지속 운영한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