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행정안전부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 예산이 당초 계획의 약 20% 수준인 342억원으로 편성되면서 클라우드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은 국내 공공 클라우드 기업에 주요 수익처 중 하나였다. 2025년까지 약 8000억원 시장이 열리면서 기대감도 컸다. 클라우드 사업자는 공공사업을 통해 제품·비즈니스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민간 사업 확대를 위한 밑거름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사업 3년차인 올해 예산이 대폭 축소하면서 클라우드 산업 침체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 5개년 계획에 맞춰 사업 전략을 세운 클라우드 기업 대다수는 '망연자실'이다. 특히, 정부 사업 계획에 맞춰 인력을 확대한 기업은 새로운 확보 인력에 대한 재편을 고심 중이다.
국내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예산이 축소된 것에 대해 방안을 세우기 어렵다”며 “차라리 사업 계획이 빨리 재논의돼야 인력 조정에 들어갈텐데 이마저도 아직 불명확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정부가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CSAP) 상·중·하 등급제 도입을 추진하면서 공공 클라우드 사업 전반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줄어든 사업 수주 기회마저 글로벌 사업자와 나눠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예산 축소로 전체적인 사업 파이는 줄었는데, CSAP 등급제 추진으로 이 사업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는 늘어난 셈”이라고 꼬집었다.
경기 침체 여파로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클라우드 사업 전망도 '흐림'이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투자 심리가 위축돼 클라우드 전환 수요가 줄 것이라는 관측이다.
민간 클라우드 산업 침체 우려와 함께 공공 클라우드 사업 전환 예산 축소로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에 동력을 잃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시스템이 각각인 칸막이 정부 서비스에서 탈피해 클라우드 기반으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원클릭 맞춤형 서비스를 지향한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통해 유연한 정보시스템 환경 확보가 가능하다.
다만, 클라우드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여겨지는 만큼, 공공의 클라우드 전환은 거스를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클라우드 기업 대다수는 디지털플랫폼정부와 관련한 신규 공공 클라우드 사업 수요를 기대하고 있다.
행안부는 2020년 6월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자원 통합기준' 제정을 시작으로 정보시스템 현황 조사, 전환 추진계획 마련 등을 거쳐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진행해왔다.
2021년 1차연도 사업에 착수, 지난해까지 900여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는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2167개와 서버 1만3004개를 클라우드로 전환·통합할 계획이었다.
권혜미기자 hyeming@etnews.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