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이 10일 기업유치 본격화로 새만금 2.0 시대를 열기 위한 새해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https://img.etnews.com/photonews/2301/1611723_20230110140729_445_0004.jpg)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규현)은 기업유치 본격화로 '새만금 2.0' 시대를 열기 위한 새해 업무계획을 10일 발표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코로나19와 경기침체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 지난 한해에만 2013년 9월 개청 이후 체결한 산단 입주계약 총 50건 중 42%에 달하는 21건을 체결, 역대 최대의 기업유치 실적을 달성했다.
2020년 9월부터 2년여 간 국회에서 지지부진하게 논의해온 '국제투자진흥지구 지정'이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되면서 지난해 말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이 완료돼 지역의 오랜 바램이던 투자진흥지구 지정이 가능해졌다.
![새만금개발청 2023년 사업계획 인포그래픽.](https://img.etnews.com/photonews/2301/1611723_20230110140729_445_0001.jpg)
특히 자칫 군산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해제로 기업지원 절벽이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법 개정을 통해 입주기업에 5년 동안 법인·소득세를 최초 3년 100%, 2년 50% 감면해 줄 수 있게 됐다.
새만금 중심거점을 연결하는 1조 원 이상 규모의 '지역간 연결도로 건설사업'이 수년간의 노력 끝에 지난해 10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으며, 예타 통과 2개월 만에 새해 예산에 사업비가 반영되어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이 국제 투자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활력 있는 도시조성 기반 마련 △개발 가속화 동력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국제투자진흥지구 지정기준을 마련해 새만금사업법 시행과 동시에 국제투자진흥지구를 즉시 지정하고, 활발한 투자 및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새롭게 도입할 국제투자진흥지구를 통해 세제혜택 적용 지역범위가 기존 새만금 국가산단 뿐만 아니라 새만금 전역으로 확대돼 투자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며 수출기업 우대방안도 강구한다.
![새만금산업단지 위성 사진.](https://img.etnews.com/photonews/2301/1611723_20230110140729_445_0003.jpg)
산업용지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기업의 대규모 투자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새만금권역 내 균형발전, 전북지역의 성장, 수출기업 지원 등을 위해 새만금 마스트플랜에 기반해 산업용지 확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기존에 조성중인 새만금 국가산단은 9개 공구 중 4개 공구의 매립을 완료한 상황으로, 나머지 공구의 매립 시기를 앞당기고 추가 산단 등 산업용지를 신규 공급하기 위한 방안도 검토한다.
새해 예산을 확보한 2단계 장기임대용지 조성사업도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대규모 수출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해 신항만·국제공항 등과 연계한 자유무역지역 등의 특구개발 방안도 마련한다. 선제적·맞춤형 기업유치 활동을 강화해 이차전지, 모빌리티 분야의 첨단기업 집적화를 통해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국내 최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을 조성하기 위해 RE100 입주기업 지원을 위한 산단 운영·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수상태양광 사업은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새만금이 활력 있는 하나의 도시권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권역간 연계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주요 도시·개발계획을 내실화한다.
광역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재정비해 인접도시, 대도시와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통망 체계를 확립하고 주요 교통시설과 상업·업무·주거 등 도시 기능을 연계하는 복합개발 방안도 마련한다.
새만금 첫 번째 생활거점이 될 스마트 수변도시의 매립공사를 완료해 기반조성 공사에 착수하는 한편, 대국민 공모 등을 통해 도시정체성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도시명칭 발굴 등 도시 브랜드화를 추진한다.
관광레저용지와 관련된 민간공모사업은 최근 금융시장 여건 악화, 공사비 상승 등 사업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나 민간과 협력해 사업이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새만금개발을 한층 더 가속화하고 수출·입 물류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새만금과 주요거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철도·공항·항만 등 트라이포트(Tri-port) 구축사업을 관계기관과 협력해 조속히 추진한다. 트라이포트 등 주요 기반시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속철도(KTX) 도입, 항공 연관산업 육성 등 추가적인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지역간 연결도로 건설사업은 어려운 지역경제를 감안하여 새만금개발청에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사업추진을 앞당기는 한편, 지역업체의 참여도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재정당국과 총사업비 협의를 조속히 완료해 기업 대상 사업설명회를 상반기에 개최하고, 하반기에 신속히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다.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은 “지금까지는 투자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해왔고, 이제는 기업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설 시간이 됐다”면서 “새해에는 대규모 기업유치를 통해 새만금이 기업으로 붐비는 모습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군산=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