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업계와 정책 당국이 핀테크의 아시아 진출을 위해 잰걸음을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5일 한국 핀테크산업협회와 핀테크지원센터가 '아시아 핀테크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한 데 이어 이달 17일에는 금융 당국이 금융사·핀테크의 '인도네시아 진출지원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시장에선 한때 이슈화된 '아시아의 핀테크 허브'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3년 12월 동북아금융허브전략 발표 이후 금융중심지 정책을 지속 추진해 왔다. 그럼에도 국제금융중심지 지수는 지난해 9월 기준 서울 11위, 부산 29위로 3위 싱가포르 및 4위 홍콩과의 격차가 여전히 크다.
금융연구원이 발표한 '글로벌 디지털금융 중심지의 개념과 추진방안'에 따르면 국제금융중심지가 되기 위해선 몇 가지 요건이 필요하다. 해외 금융사에 우호적인 비즈니스 환경,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법규 체계와 자본주의 시스템, 영어 소통 등 외국인이 살기 좋은 생활 여건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경쟁력이 아직 많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된다. 시장 규모(2조20억달러)도 중국·일본의 약 3분의 1로 작을 뿐만 아니라 세율이 25%로 싱가포르(17%)·홍콩(16.5%)보다 높다. 경직적인 노동시장, 언어 등 국제 업무능력 면에서는 싱가포르·홍콩보다 취약하다.
금융연은 보고서에서 아날로그 금융산업으로는 글로벌 금융중심지 내지 아시아 금융허브가 되기 어렵다고 보고 대안으로 디지털 금융산업, 글로벌 핀테크허브 육성을 제안하고 있다.
과연 핀테크의 글로벌 육성으로 아시아 금융허브를 만들 수 있을까. 개인적으로 공감하며, 충분히 가능하다. 이유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디지털·IT 강점과 잠재력을 첫 번째로 꼽고 싶다. 한국 IT는 해외에서 인정받는 만큼 IT금융, 즉 핀테크는 상대방과의 제휴·협력에 유리하다.
특히 동남아는 고성장지역인데다, 금융의 빠른 디지털·모바일화 관심이 높아서 우리나라 핀테크 진출 및 상호협력 최적지라 할 만하다.
둘째 금융연구원도 밝히고 있듯이 핀테크 혁신 역량이 축적된 점이다. 2022년 금융중심지 순위에서 서울이 11위지만 핀테크 분야에선 4위를 기록했다. 핀테크기업 수도 2014년 131개에서 최근 600개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요인이다. 카카오뱅크나 토스 등 세계 어디에 내놔도 손색없는 성공 사례 등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금융 디지털화로 언어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손안의 모바일 화면'을 활용하면 언어능력 부족을 메울 수 있어서 싱가포르·홍콩보다 영어가 취약한 우리나라로선 상대적인 강점이 될 수 있다.
넷째 금융에만 특화된 싱가포르나 홍콩과 달리 금융과 융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산업을 갖추고 있는 점도 우리나라의 강점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디지털·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빅데이터와 융합해서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금융 단독이 아닌 의료·헬스, 문화예술, 교육, 부동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싱가포르·홍콩이 쫓아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다는 생각이다.
예컨대 성형 의료·헬스, K팝 한류 인센티브를 장착한 금융서비스를 출시하면 동남아에서 선풍적 인기몰이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물론 '글로벌 또는 아시아의 핀테크 금융허브'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정책당국과 업계의 각별한 노력 및 협력은 필수다. 국내 핀테크의 해외 진출(outbound)뿐만 아니라 해외 핀테크의 국내 진출(inbound) 및 유치도 필요하다. 특히 핀테크기업과 관련 기관의 집적지(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해외 핀테크기업에 대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등도 검토할 만하다. 핀테크라는 신산업 육성을 위해선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투자 생태계 구축이 중요하다. 특히 시장 실패 영역인 초기단계와 유니콘 육성을 위한 스케일링업단계 투자 활성화가 정책지원의 핵심이다. 산업 내 혁신만이 아닌 산업 간의 융합혁신과 이를 위한 부처 '칸막이 행정'의 혁파도 간과할 수 없는 요소다.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ysjung1617@sogang.ac.kr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