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 우리나라에도 영향...'지하수 수위' 변화

튀르키예 강진(규모 7.8)이후 문경 지하수 관측정 수위가 7㎝, 강릉 지하수 관측정 수위가 3㎝ 상승했다. 규모 7.5 강진에는 문경 지하수 수위가 3㎝ 하강했다.
튀르키예 강진(규모 7.8)이후 문경 지하수 관측정 수위가 7㎝, 강릉 지하수 관측정 수위가 3㎝ 상승했다. 규모 7.5 강진에는 문경 지하수 수위가 3㎝ 하강했다.

7400㎞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이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은 이수형 박사팀이 지난 6일(현지시간)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 본진(규모 7.8)과 여진(규모 7.5)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 두 곳(문경·강릉)에서 지하수 수위 변화를 감지했다고 14일 밝혔다.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 7㎝ 상승과 여진에 따른 3㎝ 수위 하강을,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후 3㎝ 수위 상승을 탐지했다. 특히 문경 관측정에서는 튀르키예 강진 본진과 여진에 따른 지하수 수위 여파가 뚜렷하게 감지됐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진-지하수 변화 연구를 수행하는 이수형 박사팀은 이번 연구로 규모 7.5 이상 지진이 먼 거리에서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분석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지진파로 지하수가 있는 대수층 주변 암석에 압력이 가해진다. 대수층에서 압축과 팽창이 발생해 지하수 수위가 상승·하강을 반복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급격한 유동으로 대수층이나 방사성폐기물 부지, 오염 지역 등 지중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진-지하수 연계 점검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수형 박사는 “강진이 발생하면 수천 ㎞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 흔들림뿐만 아니라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지진과 연계한 지하수 관측과 분석 연구로 보이지 않는 보물인 지하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평구 원장은 “지진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다학제 지진 기술을 적용하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비가 가능하다”며 “지진 탐지와 고지진 분석, 지표지질탐사, 지하수 수위 변화 등 지질연의 지진대비 기술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강진(2010년, 규모 7.7), 동일본 대지진(2011년, 규모 9.0), 네팔 강진(2015년, 규모 7.8)은 물론 9300㎞ 떨어진 뉴질랜드 강진(2021년, 규모 7.8)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연구해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