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핀테크 해외 진출, 특히 아시아 진출에 속도가 붙고 있다. 토스는 '비바리퍼블리카 베트남' 앱 출시로 가입자를 1000만명 이상(누적 기준) 모았고, 카카오페이는 일본·마카오·싱가포르 등으로 결제처를 확장했다. 카사는 싱가포르에 부동산 수익증권거래소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금융 당국도 인도네시아, 베트남과의 공동포럼 개최, '핀테크 로드'를 통한 진출계획 마련 등 지원사격에 나섰다.
핀테크업계의 관심도가 높은 아시아 지역은 어디일까. 물론 각 기업의 니즈와 수익모델에 따라 관심 지역은 다르겠지만 베트남이 부동의 1위라 할 만하다. 한국 핀테크 지원센터가 조사한 핀테크 업체(112개)의 향후 진출 의향 선호도에 따르면 2020년 1위 베트남(50.2%)과 2위 미국(47.0%), 2021년 1위 미국(38.4%)과 2위 베트남(34.8%)으로 아시아에선 베트남이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왜 이렇게 베트남 관심도가 유난히 높을까. 첫째 베트남이 우리나라의 수출 3위 국가로서 은행 등 우리 금융권의 진출도 많아 금융 협력 네트워크가 형성됐고, 둘째 베트남 정부의 핀테크육성정책으로 핀테크 시장의 성장 기대감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베트남은 지난 7~8년간 비현금결제 개발계획(2016~2020년), 매년 6월 16일 'Cashless Day 행사하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등 강력한 디지털·핀테크 활성화로 VN페이, 모모, 스카이 마비스 등 핀테크 유니콘을 무려 3개나 만들어냈다.
그럼 우리나라 핀테크 업체의 베트남 진출 분야와 방안으론 어떤 것들을 생각할 수 있을까. 첫째 인터넷은행을 꼽을 만하다. 베트남과 같은 고성장기에 금융의 핵심은 역시 은행 부문이기 때문이다. 최근 베트남은 은행 부문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어서 인력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날로그 은행보다 지점 개설이 필요 없고 디지털 플랫폼화에 도움이 되는 인터넷은행이 가점을 받을 공산이 높다. 모모, 티모 등이 인터넷은행이라고 하지만 기존 은행과 연계해 계좌를 개설하고 있어 진정한 인터넷은행이라 하긴 어렵다. 100일 만에 435만 비대면 계좌를 개설하고, 2년이 채 안 돼 흑자로 전환한 카카오뱅크 등의 성공 사례는 충분히 관심을 끌 수 있다. 둘째 온라인투자연계(P2P)금융 분야다. P2P는 베트남 핀테크업계에서 업체 수가 두 번째일 정도로 관심도가 높고 성장 가능성이 짙다. 은행 대출 수요가 많은 만큼 은행 대출을 대체할 수 있는 P2P 플랫폼의 인기가 많다는 얘기다. 특히 아날로그 은행은 시공간 제약이 있는 데다 은행마다 고객 신용평가와 본인 확인시스템이 다르는 등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P2P 플랫폼은 모바일 스마트플랫폼을 국내외 모두 같은 것을 쓰기 때문에 고객 혼동도 별로 없고, 국내외 업체 간 제휴와 시너지 창출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우리나라 P2P로선 포용 계층의 대출, 빅데이터 구축 및 분석 경험, 상대적으로 낮은 자금조달비용 등이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챗GPT 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지금 인공지능(AI), 보안기술 등을 포함한 핀테크 인에이블러의 진출도 적기라 할 만하다. 핀테크 인에이블러는 말 그대로 핀테크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기술로, 특히 해외 협력에서 상호 신뢰와 시장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요소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상장된 핀테크업체 18개사 가운데 13개사(72%), 해외 진출 경험이 있는 핀테크업체의 51.6%가 핀테크 인에이블러일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모바일 OTP 보안솔루션을 베트남 등 동남아에 공급하고 있는 아톤, AI 기술에 특화된 아이젠 글로벌 등이 대표적이다.
이 밖에 한국과 베트남 로보어드바이저업계의 제휴·협력으로 양국 사이버 자본시장에 상호 진출, 베트남에서 'K-한류'와 금융을 융합한 '문화금융'을 조각 투자로 접근하는 방안 등을 추진해 볼 수 있다.
베트남 핀테크는 전자상거래가 급성장하고 있고, 포용금융정책도 강화되는 데다 MZ세대가 중심 수요층이어서 향후 전망이 대단히 밝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우리나라 핀테크업계 진출 희망 1순위인 만큼 가능한 한 빨리 민·관 협력과 진출방안의 구체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 ysjung1617@sogang.ac.kr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