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1년 앞으로...여야, 新원내사령탑 꾸려 '민심' 잡기 총력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22대 국회의원 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 모두 총선 채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원내 지휘봉을 잡고 총선 전략을 세울 원내사령탑부터 새롭게 구성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7일 3선 윤재옥 의원이 원대대표 자리를 꿰찼다. 더불어민주당도 이달 말, 늦어도 내달 초 원내대표를 새롭게 뽑아 총선 정국 전환을 이끈다. 양당은 공천 제도 개편 등 물밑작업에도 돌입했다.

서울 서강대교에서 바라본 국회의사당.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서울 서강대교에서 바라본 국회의사당.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아직 1년이라는 기간이 남았으나 여야 모두 총선 체제에 빨리 돌입하는 분위기다. 그만큼 총선이 갖는 중요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윤석열 정부 집권 3년차에 열리는 만큼 총선 승패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 향후 정국 주도권은 물론 차기 대선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여야 모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이유다.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는 “내년 총선에서 이기지 못하면 모든 대한민국 미래가 다 끝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다시 신발끈을 매야할 때”라며 연일 총선 승리를 외치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실패하면 '레임덕'뿐만이 아닌 국정조사와 특검이 기다리고 있다는 점도 수시로 상기시키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총선에서 지면 민주당뿐만 아니라 내 정치 인생도 어려워진다”며 총선 압승에 대한 절박함을 내비쳤다.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고배를 마신 터라 총선에서 실패하면 당은 물론 자신의 존립까지 휘청거린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우선 여야 모두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도 개편'이 어떻게 이뤄질지에 주목하고 있다. 10일부터 국회의원 300명 전원이 참여하는 전원위원회를 가동한다.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할지, 한 개 선거구에서 2명 이상의 대표를 뽑는 중대선거구제로 바꿀지가 쟁점이다. 또 비례대표를 지금처럼 전국단위로 뽑을지,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눈 뒤 비수도권 지역에 의석 수를 좀 더 배정할지도 관전 포인트다. 다만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게 되면 대도시 지역 의석수 감소가 불가피해 적용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추락한 당 지지율을 높이기 위한 민심 확보도 시급한 과제다. 내년 총선도 결국 '수도권·중도층 민심'이 관건이다. 수도권은 지역구 의석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정치색이 뚜렷하지 않아 예측하기 쉽지 않다. 또 여야 정당 모두에게서 중도층 민심이 많이 떠난 상황이다. 총선의 캐스팅 보트인 중도층을 어떻게 끌어들이는지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윤재옥 국민의힘 신임 원내대표도 당선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책 방향이나 정치 지향 등을 생각하면서 중도층 민심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이른바 '제3지대론'이 등장할 지도 관심사다. 정치권 관계자는 “거대 양당 대치에 피로감과 반감을 가진 사람이 늘고 있다”면서 “양당 모두 내홍을 겪고 있어 총선을 앞두고 '헤쳐모여'식 정계 개편이 일어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