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통해 국정방향을 설정한다. 대국민 행정서비스를 하나로 모으는 것 외에도 과학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결정, 불필요한 정치·사회적 갈등을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주재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전자정부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며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플랫폼정부는)인공지능을 기반으로 각 부처와 기관에 흩어진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해 활용하게 하는 것”이라며 “정부 정책 방향의 어젠다 설정도 과학화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국민이 원하는 행정서비스뿐 아니라, 정부가 선제적으로 해야 할 행정처리에서도 과학화, 디지털화가 기반이 된다면 불필요한 정치적 갈등을 줄이고 사회 문제를 풀어가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무엇보다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공지능(AI)과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SW), 디지털 분야 인재를 많이 키울 수 있다고 바라봤다. 윤 대통령은 “정부와 우리 사회가 AI와 디지털 고도화에 자연스럽게 큰 연구개발(R&D) 투자를 할 수가 있고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우리 산업의 전후방 긍정적인 효과가 굉장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대선 때부터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기반의 새로운 정부 형태, 즉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추진을 공약해왔다. 우리 전자정부가 지난 30년간 좋은 평가를 받고, 개발도상국 등에도 수출됐지만 빠른 기술 변화에 발맞춰 디지털플랫폼정부가 필요해졌다는게 윤 대통평 판단이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임기 내 끝낼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면서도 “앞으로 설계와 투자 등을 꾸준히 해 나가면서 정부 형태도 많이 바뀌어 나갈 것”이라고 바라봤다.
한편 이날 보고회에선 고진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위원회 위원장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미래 변화상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플랫폼정부 핵심 과제'를 보고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초거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데이터 혁신을 위한 국민 신뢰 확보 방안'을 각각 보고했다.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 △관공서 첨부서류 제로화 △알아서 맞춤형으로 배달하는 '혜택 알리미' 등 구체적인 핵심 사례도 제시됐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