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바이오경제 年 4조달러 가치 창출"

산업부, 미래전략포럼 개최
사회·경제 전반 변화·혁신 촉발
주요국처럼 범부처 정책협력 강조
업계 "국가전략기술 대상 확대를"
전문가 의견 수렴 '2.0 전략' 추진

임정수 맥킨지 파트너
임정수 맥킨지 파트너

“2030년 이후 바이오경제가 연간 2조~4조달러 규모로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 중 50% 이상은 전통 제약산업을 넘어 농업, 소비재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질 것으로 예측됩니다.”(임정수 맥킨지 파트너)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경제학회는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26일 '바이오경제 미래전략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등 주요국이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바이오경제 종합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바이오경제'는 헬스케어 분야에 집중돼 온 바이오산업 영역을 확장해 사회·경제 전반의 변화와 혁신을 촉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기조강연을 맡은 임 파트너는 “바이오혁명은 인류 최대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훨씬 다양하고 새로운 영역이 발생할 것”이라면서도 “바이오경제 혁신으로 나오는 위험도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 리스크에 대한 고민도 상당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날 세계 각국이 펼치는 바이오경제 주도권 선점 경쟁도 소개됐다.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은 특정 부처가 아니라 범부처 차원에서 바이오경제 정책을 발표한다. 상당히 많은 분야의 정책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바이오경제는 보건의료뿐만 아니라 에너지환경, 화이트바이오 등 확대일로가 될 것”이라면서 “기술경쟁력뿐만 아니라 데이터·시스템 경쟁력, 과학기술·사회·산업정책 등 범부처 정책 추진 및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주요국들이 글로벌 협력을 선언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혁신 생태계를 연결하는게 국가 바이오산업을 키우는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업발표에서는 바이오산업 현황 소개와 정부에 대한 정책건의가 이어졌다.

박용 삼성바이오로직스 센터장은 “현재 조세특례제한법상 '백신'에 한정된 국가전략기술이 '바이오의약품'으로 확대돼 높은 세액공제율 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도움이 필요하다”면서 “미국 여러 주지사, 중동 등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방문해 투자 인센티브를 약속하며 글로벌 투자 유치를 요청하는 상황을 고려해 바이오의약품도 국가전략기술로 지원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2030년 바이오경제 年 4조달러 가치 창출"

김건수 큐로셀 대표는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인 CAR-T 치료제 개발의 국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새로운 기술이 신속하게 임상에 진입할 수 있도록 임상 에코시스템과 인프라 구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친환경 배양육 발표를 한 이희진 대상 박사는 “국내 동물세포배양이 의약품 기준에 머물러 있다보니 혈청이나 성장인자가 식품급으로 허가되는 일이 논의 중”이라면서 “국제 기준에 맞춰 제도가 개선된다면 배양육을 선도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업계와 학계 전문가 의견을 '바이오경제 2.0 전략' 수립에 반영하고 향후 바이오경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지속 소통하면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