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약 20%는 출력제어 범위에 포함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사업자 간 형평성을 보장하기 위해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고, 가상전력선 등 신기술로 출력제어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회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통과하면서 '지역별 차등 요금제' 도입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세호 제주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27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한국전력공사가 개최한 '전력망 선진화 포럼'에서 제주도의 미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량을 공개했다.
김 교수는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을 바탕으로 2030년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점유율을 60.4%로 가정하고 이 같은 분석을 제시했다. 김 교수 분석결과 2030년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4984GWh 중 출력제어량은 약 1039GWh로 지난해 25.6GW의 40배가 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출력제어률은 재생에너지 전체 발전량의 20.85%에 이른다. 2030년 제주도 출력제어 횟수는 330회로 지난해 104회보다 3배 넘게 많다. 특히 2030년 제주도의 풍력발전량이 대폭 늘어나면서 출력제어가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봤다.
김 교수는 “초고압직류송전(HVDC) 역송량은 400㎿로 가정했다”면서 “출력제어는 해상풍력 얼마나 할 것이냐가 관건인데 (2030년부터) 해상풍력으로 발전량이 어마하게 많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출력제어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도 다양한 자원을 동원해 출력제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 교수는 제주 지역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중앙급전발전기 최소출력 하향 △HVDC 최소 운전 △플러스수요관리(+DR) 시행 △전기차 확산 등 방안을 꼽았다. 주성관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블록체인 기반 출력제한 순서 거래, 신재생에너지 전력도매시장 참여 등 방안을 제안했다. 무엇보다도 재생에너지 사업자가 출력제어로 인한 손실을 예상할 수 있게끔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됐다.
손성용 가천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사업자 입장에서는 출력제어를 얼마나 할지 모른다고 얘기하는데 계산을 해서 견딜 수 있는 수준인지 판단해야 한다”면서 “최대 몇퍼센트까지 보상을 하는 등 구체적인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달 국회 상임위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도 통과하면서 법안에 담긴 '지역별 차등 요금제'를 구현하기 위한 논의도 이날 진행됐다. 주 교수는 지역별 차등 요금제를 구현하기 위해 도매전력시장 가격을 지역별로 차등 결정하는 '지역별 가격제'를 도입하거나, 전력망 요금을 지역별로 차등 부과하는 '송·배전 요금'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전기요금에서 비중이 커질 송·배전요금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전은 향후 '전력망 선진화 포럼'을 정례적으로 운영하면서 전력산업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한다. 이준호 안전&사업부사장을 위원장으로 운영위원 3명, 포럼위원 10명 등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이종영 전기위원장, 안길영 LS일렉트릭 글로벌 사업지원본부장, 이유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탄소중립연구본부장, 강병준 전자신문 대표, 주성관 고려대 교수 등 학계·산업계·연구계 전문가가 참여한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