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는 최근 몇 년간 성장을 거듭하며 금융 산업의 주요 변화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핀테크가 금융 포용성을 확대했다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즉, 금융접근성이 낮았던 금융소비자도 적극적인 금융활동을 가능케 하는 기회가 확대됐다.
금융 포용성은 금융서비스 및 제도가 모든 사람들에게 공평하게 제공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과거의 금융시스템은 정보 소유나 금융기관 접근에서 일부에게만 편중되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금융 포용성을 좁히는 요인 중 하나였다. 핀테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고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금융소비자는 이제 모바일 앱을 통해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 됐다. 영업점 방문이나 이용 시간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어졌다. 대출을 원할 경우 ‘나’에게 가장 유리한 금리와 한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금융 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핀테크는 기존 신용 기관이 제공하는 자료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출 심사를 진행한다. 거래 내역, 소득 수준, 소득 분배, 소비 패턴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대출이 어려웠던 소상공인이나 저소득층에게도 대출 기회를 제공한다. 보증인과 보증서류 등의 복잡한 절차도 줄어들었다.
거액을 보유한 일부 자산가의 전유물이던 자산관리 영역도 금융의 포용성이 확대됐다. 핀테크 서비스는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자산의 효율적 운용과 위험을 최소화 했다. 그만큼 금융소비자의 시장 이해도와 참여도가 높아진 것이다.
보험 상품도 변화했다. 고객의 건강 정보나 생활 습관, 운전 습관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위험도를 분석하여 획일화되지 않은 맞춤형 상품과 가격을 책정한다. 결제 및 송금에서도 금융의 포용성은 확대됐다. 신속하고 편리한 전자 결제 서비스는 금융이력이 부족한 저소득층과 젊은 세대에게도 쉽게 이용하도록 했다. 동시에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산 시스템으로 해외 송금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핀테크는 다양한 사업모델로 금융 포용성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핀테크 입장에서 보면 고객 기반 확대라는 본연의 기업가치 제고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결코 소홀할 수 없다. 핀테크의 금융 포용성은 정부가 표방해 온 정책 방향과도 일치한다. 신기술을 기반으로 금융혁신을 추구해 온 핀테크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금융시장은 5월말 기점으로 신용대출에 한해 온라인 대환대출이동서비스를 오픈한다. 소비자대출 중 80%에 육박하는 주택담보대출 이동은 올해말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그동안 도입이 늦어진 표면상의 이유는 금융사 인프라 및 대환대출이 가능한 상품의 미비였다. 여기에 금융업권간 상황에 따른 이해관계 조율 등 도입시기에 대한 정책당국의 신중함도 작용했다.
금융소비자는 지금까지 오프라인에서 제한적으로 대출이동을 해왔다. 서비스 오픈 이후에는 클릭 몇 번으로 보다 저렴하고 손쉽게 금융기관을 갈아탈 수 있다. 핀테크는 사업영역과 수수료 창출을 확대하고 장기적으로 금융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다. 금융회사는 업무 처리의 효율성 증가로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플랫폼 운영 등 새로운 영업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대출이동서비스는 핀테크를 활용한 포용금융 관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다만 시장에서 불거져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대형 빅테크사 위주로 시장이 형성될 것이란 점과 조회 수수료가 높아 자금력이 부족한 핀테크에게 사업 차별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점이다. 제도 도입 후에도 정책당국의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한 대목이다. 모처럼 핀테크의 기술 접목, 금융사와 핀테크 간 협업, 정책당국의 의지가 결합해 만들어 낸 포용금융의 대표 사례가 원활하게 작동하기를 기대한다.
송민택 동국대 겸임교수 pascal@apthefin.com
길재식 기자 osolgil@etnews.com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