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이 스마트폰과 서버 시장, 미국과 중국 수요에 크게 의존해 관련 경기 변동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우리나라 반도체 수요구조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 가운데 스마트폰용과 서버용 수요 비중은 각 44%, 20.6%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의 비중이 컸다. 스마트폰용은 두 나라가 비슷한 수준이고 서버용은 미국 영향을 더 받고 있다.
이런 수요 구조에 따라 향후 국내 반도체 경기는 중국 스마트폰 소비와 미국 데이터센터 투자의 회복 여부에 달려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중국 스마트폰 소비는 봉쇄 조치의 영향으로 부진했지만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이후 시차를 두고 회복하면서 점차 우리나라 반도체 경기 부진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서버 수요 경우 주요 빅테크가 실적 악화, 경기 불확실성 등에 데이터센터 투자 지출을 줄이면서 위축됐지만 향후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서비스 확대 등으로 고성능컴퓨팅(HPC) 서버 중심으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규환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우리나라 반도체 경기의 변동성이 다른 나라보다 큰 만큼, 비메모리 경쟁력 강화나 수요처 다변화 등을 통해 진폭을 줄여나가야 한다”며 “국내 반도체 수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해지고 있어 관련 정책 대응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
-
권동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