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뷰] 6G, 선행연구 넘어 상용화 경쟁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6세대(6G) 통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자국 중심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다. 세계 각국은 경쟁국보다 한발 앞서 6G 조기 상용화를 달성하고 기술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국가 주도 연구개발(R&D)에 힘을 싣고 있다. 2028년에서 2030년 사이 상용화가 예상되는 6G가 개념정립과 선행연구 단계를 넘어 국제표준 및 핵심기술 선점 경쟁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통신연합(ITU)은 이달 예정된 6G 비전 제시를 통해 6G 표준화 작업을 본격화한다. 오는 11월 두바이에서 열리는 세계전파통신회의(WRC23)에서 6G에서 이용할 주파수 대역을 각국이 최초 제안할 예정이다. 이후 지속 논의를 거쳐 2027년 회의에서 6G 주파수 대역을 최종 확정한다.

글로벌 이동통신기술표준 단체인 3GPP는 내년부터 6G 기술 표준화에 착수, 2028년 6G 표준 최초 버전인 3GPP 릴리즈21을 제정·발표한다. 이에 따라 2030년 6월까지 6G 국제표준을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국가간 패권 경쟁이 차세대 네트워크로 옮겨가면서 기술 상용화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커졌다. 특히 미국과 중국 기술 냉전 중심에 6G가 있다. 양국 모두 6G를 단순 차세대 네트워크가 아닌 글로벌 리더십을 차지하기 위한 미래 융합산업 및 경제 안보 핵심 인프라로 보고 있다.

미국은 6G 글로벌 리더십 쟁탈을 목표로 ‘미래 네트워크 법안’을 통과시켰고, 기술표준 주도권을 쥐기 위해 R&D에 3조3000억원을 쏟고 있다. 중국도 이에 맞서 매년 6G R&D 예산을 7%씩 늘리고 1만3000여개 저궤도 통신위성을 쏘아올리는 중국판 스타링크 ‘궈왕’ 프로젝트를 올해부터 본격 가동한다. 선도국의 6G R&D 전략은 정부의 정책 지원 의지 표명을 넘어, 기술과 시장 수요에 기반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계획으로 진화했다.

우리나라 역시 ‘K-네트워크 2030 전략’을 수립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6G 상용화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글로벌 흐름에 맞춰 6G 상용화 기술 개발 착수 시점을 당초 2026년에서 2024년으로 앞당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G 상용 기술 개발 활성화를 위해 6253억원 규모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원천기술 중심 6G R&D뿐 아니라 기술 상용화에 초점을 맞춰 소·부·장 및 오픈랜 기술개발을 병행 추진하고, 6G 포럼 등 기술개발 구심체 역할을 할 산학연 협력조직도 올해부터 본격 가동한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