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부총리 “콘텐츠는 자동차 견줄 대형 시장”...업계, 세제·재정 지원 건의

왼쪽부터 박태훈 왓챠 대표, 김태용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 회장, 이상백 에이스토리 대표, 구창근 CJ ENM 대표, 추경호 부총리, 손기원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이사, 강동길 앤미디어 대표, 최정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
왼쪽부터 박태훈 왓챠 대표, 김태용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 회장, 이상백 에이스토리 대표, 구창근 CJ ENM 대표, 추경호 부총리, 손기원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이사, 강동길 앤미디어 대표, 최정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4대 강국 도약을 위해 콘텐츠 산업의 성장 여건을 조성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업계는 정부가 세제·재정지원 방안 등을 강구해달라고 건의했다.

추 부총리는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콘텐츠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콘텐츠 산업 지원방향에 대해 업계-정부 간 의견 교환을 위해 영상 콘텐츠 관련 협회 및 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추 부총리는 “콘텐츠는 서비스 산업 중 대규모 흑자를 지속 중인 핵심 분야로, 세계 콘텐츠 시장은 자동차 시장에 비견할 만한 대형 시장”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콘텐츠 시장 규모는 702억달러(약 90조)다. 미국(9798억달러), 중국(4461억달러), 일본(282억달러), 영국(1203억달러), 독일(1130억달러), 프랑스(773억달러) 등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추 부총리는 “세계 시장에서 ‘K콘텐츠’의 영향력과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는 만큼 정부는 ‘세계 콘텐츠 4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콘텐츠 산업의 성장 여건 조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추진 중인 K콘텐츠 수출 전략, 콘텐츠·관광 분야의 수출 활성화 추진 방안 등 관련 정책을 보완·발전하는 한편, 국제 경쟁력 제고에 초점을 두고 정책적 지원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영상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콘텐츠 제작·공급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언급,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와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세제·재정지원 방안 등을 마련해달라고 전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