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370〉혁신과 실존의 닮은 꼴

웨이크업 콜(Wake-up Call). 한 사전은 두 가지 설명을 준다. 하나는 호텔 등의 모닝콜이다. 다른 해설은 사람의 주의를 촉구하는 일이나 사건이다. 그리고 후자는 꽤 잘 알려진 다른 용어와도 닿아보인다. 바로 철학자 쇠렌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적 순간(existential moment)’이란 것이다. 누군가는 실존적 순간을 자신의 존재, 목적, 가치 및 삶 자체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 질문에 직면하는 삶의 어떤 지점이나 경험이라고 말한다. 이 둘은 자신의 존재에 직면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돌이켜보게 하는 순간에 관한 태생은 다르지만 닮은 것인 듯도 싶다.

혁신의 8할은 자신에게서 난다. 혁신은 흔히 혁신이 흔한 곳에서 재탄생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혁신이 어디 이것뿐이겠나. 그것이 가능할 거라고 누구도 예상 못한 곳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놀라게 하기도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챗GPT가 충격을 줬지만 정작 충격은 그 뒤에 서 있는 기업 탓이었다. 바로 MS다. 이 기업이 어떤 곳인지 모를 이는 없다. MS-DOS 그리고 윈도로 쌓아올린 현 시대 최고의 독점기업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 위대한 기업에 혁신을 기대한 지 오래됐다. 실상 수십 년 동안 획기적 혁신을 이루지 못했다.

너무도 부유한 탓인지 누군가 앞질러 가는데도 느긋해 보였다. 뭔가 혁신을 다루기에 너무 크고 관료화된 듯 했다. 심지어 제프 베조스는 아마존 회의실에서 동쪽을 가리키며 저 거대한 이웃처럼 안주해서는 안된다고 했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였다. 실상 두 기업의 본사는 20여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으니 그럴 법도 했다.

그런 MS가 오픈 AI와 챗GPT를 내놓았다. 이날로 검색이란 단지 링크만이 아니라 사용자를 위해 직접 정보를 생성해 제공하는 것이 됐다. 사티아 나델라는 “새로운 검색의 날”이 시작됐다고 선언했다.

실상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어야 했다. 아니 일어날 수 없는 일이었다. MS 검색엔진인 빙(Bing)의 초라한 성적표를 본다면 더더욱 그랬다. 그러던 곳이 검색이란 구글의 홈그라운드에서 구글에 도전했다. 그것도 2016년에 이미 ‘AI 퍼스트’ 기업이 되겠다고 선언하고 내쳐 달려온 이 시대 최고의 혁신기업에 대해서 말이다.

혹자는 이 반전이 기술력이 아니라 구글의 방심 탓이라고 말한다. 어떤 이들은 구글의 선도적 위치가 실패를 두려워하고 보수적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누군가는 최고기술책임자 케빈 스콧(Kevin Scott)을 성공요인으로 본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것의 답을 ‘실존적 순간(existential moment)’에서 찾는다. 바로 MS가 거의 10년 전 다시 찾고자 했던 자신의 정체성 말이다. 당시 CEO가 된 지 얼마 안된 사티아 나델라는 “지금이야말로 우리 존재의 이유인 MS의 영혼을 재발견할 때”라고 말했었다. 이날 MS는 비로소 ‘자신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PC’라는 생각의 오래된 멍에를 벗어 놓게 된다.

사람들은 망각한다. 한때 그것이 누구나 경외해 마지않던 그런 사실이라도 말이다. 여기 그런 기억 하나가 있다. 1981년 10월 6일 뉴욕 크로톤빌에 있는 GE경영개발원에서 잭 웰치는 자신의 비전을 설명한다. 새 CEO로 임명된 지 얼마 안된 시점이었다. 훗날 ‘웨이크업 콜’이라고 불리게 된 이것에서 그는 미국 기업이 현실에 안주하고 있으며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혁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사건은 오늘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지만 이것이 바로 오늘 MS를 깨운 그것과 다름없다. 이것이 MS DOS와 윈도 이후 제대로 된 혁신이라곤 기억나는 게 없는 이 굼뜬 거인을 깨운 것이라면 그리고 이 거대기업조차 ‘웨이크업 콜’에서 시작했던 것이라면 어떤 기업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물론 당신도.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jpark@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