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 ‘발등의 불’ 韓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 분야 기사가 많이 나와야 합니다. 더 큰 관심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취재 중 디스플레이 업계 인사들과 만나면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다. 모두가 걱정하고 공감하는 위기감의 표출로 이해된다.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경쟁에서 중국에 밀려 이미 국내 업체들은 생산을 포기하거나 줄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LCD 사업을 정리했고, LG디스플레이도 LCD 사업을 축소 중이다. 대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육성 중이다. 그러나 아직 완전한 사업 전환을 이뤄내지 못했다.

일례로 LCD 패널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그렇다. LCD 패널을 중국이 독점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LCD를 철수한 상황에서 중국이 가격을 인상하게 되면 수입 비용 증가를 피할 길이 없다. 국내 업체들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으로 무게를 옮겨가고 있지만 아직은 TV에 탑재하는 LCD 패널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LCD 가격 상승에 대비한 완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 업계는 OLED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높은 수익성과 중국에 비해 기술 우위가 장점이다. OLED 시장은 수요 확대가 기대되고 국내 업계가 프리미엄 제품군 위주로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가격 우위를 기반으로 OLED로 진격하는 중국의 반격도 거세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용 플렉시블 OLED 패널을 기준으로 중국 저가 패널 공세가 본격화하면서 출하량 기준으로 2분기 중국이 한국을 앞질렀다는 분석도 나왔다. 가격부터 시작해 시장 전반에서 패권 경쟁에서 밀린 LCD에서의 일이 반복될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오는 이유다.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서둘러 장기적인 비전으로 단계별 출구전략과 선도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LCD에서 완충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한 출구전략을 마련하면서 OLED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수익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 OLED,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과 생태계를 빠르게 갖춰 미래 시장을 대비해야 한다.

정부도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미래 디스플레이 연구개발(R&D)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지난해부터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R&D 예비타당성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준비가 중요하다는 걸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발등의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R&D 예타는 예타안이 마련되더라도 통과까지 심사과정이 1년 이상 걸린다. 정부도 업계도 더 적극적인 관심으로 위기극복에 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김영호 기자
김영호 기자

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