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이 함께 추진하는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포럼' 활동이 8월 이후 본격화될 전망이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별도 사무국에서 CFE포럼을 지원하는 방안 등을 포함한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CFE포럼은 무탄소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5월 출범했다.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무탄소 에너지원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CFE포럼 구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다.
2일 정부와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산업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CFE포럼 운영방안을 수립 중이다.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하지 않았지만 현재 속도로는 오는 8월 이후 포럼 구성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 출범 당시 제시한 계획보다 한달 정도 늦어지는 셈이다.
산업부는 포럼 운영방안과 함께 워킹그룹(WG) 구성도 논의하고 있다. 포럼 의장과 워킹그룹장 등 인선 작업은 아직 시작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포스코 등 국내 유수 대기업이 참여하는 CFE포럼의 위상을 고려하면 의장은 탁월한 능력을 갖춘 명망 있는 인사를 선임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CFE포럼 운영을 위한 별도 사무국을 두는 방안도 검토한다. 포럼 간사기관은 대한상의지만 운영 효율성을 위해 별도 사무국을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인 포럼 운영을 위해서는 사무국이 효율적인 지원방식이 될 수 있다.
CFE포럼은 전체회의과 운영위원회, 워킹그룹(WG)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전체회의는 CFE포럼의 전반을 검토하는 작업으로 WG에서 논의한 결과를 종합 검토한다. 운영위원회는 포럼일정과 논의의제 발굴, 워킹그룹 구성 등 역할을 담당한다. WG에서는 심층적인 논의를 수행한다. 포럼 구성이 완료되면 무탄소 에너지원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CFE포럼 구성이 좀 더 속도를 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포럼 구성이 늦어져 출범식과 일정이 멀어질수록 CFE를 확산하기 위한 논의도 늦춰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산업부는 CFE 인증제도를 수립하면서, 국제사회에 CFE를 확산하기 위한 작업도 수행해야 한다. 당장 이달 9일에서 15일까지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4차 공식협상의 필라(Pillar3)에서는 청정에너지(Clean Energy)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인데 CFE포럼을 바탕으로 한 의제 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향후 CFE포럼의 골격이 제대로 갖춰지기 위해 수요기업의 반응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CFE포럼이 기업 주도로 시행되지 못하면 '한국형 RE100' 제도처럼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