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도 ‘꿈’ 꿀지도…자다가 보호색 바꾼 이유

자는 동안 피부색이 하얗게 변한 라케우스 문어. 사진=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원(OIST)
자는 동안 피부색이 하얗게 변한 라케우스 문어. 사진=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원(OIST)

문어가 인간처럼 '렘수면' 상태에 겪으며, 심지어는 꿈까지 꾸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미국 ABC 방송에 따르면,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원(OIST)과 미국 워싱턴 대학 공동 연구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야행성 문어인 '라케우스 문어'(Octopus Laqueus) 29마리가 낮 동안 보이는 휴식 시간을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해파리나 초파리 등 모든 동물이 잠을 자는 것처럼 문어 역시도 잠을 잔다. 수조를 두드리는 것과 같은 물리적 자극을 가할 경우 문어는 깨어 있을 때, 휴식을 취할 때 등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인간 등 오직 척추 동물에서만 관찰되던 '렘수면'이 이 문어들에게서 관찰돼 연구진을 놀라게 했다.

연구진은 문어가 잘 때 '조용한 수면'과 '활동적 수면' 등 2개 단계를 겪었다고 전했다.

가만히 잠을 자던 문어가 갑자기 피부색을 바꾸고, 눈과 다리를 움직이고, 빠르게 호흡하는 등 '활동적 수면' 형태를 보이다가 다시 잠잠해져 '조용한 수면'에 드는 모습이 관찰됐다는 설명이다. 이런 행동은 약 1시간 간격으로 반복됐다.

연구진은 문어의 이 같은 모습의 인간이 '렘수면'에 들었을 때 보이는 행동과 유사하다고 전했다. 렘수면은 잠을 자는 것처럼 보이지만 뇌파는 깨어 있는 수면 형태를 뜻한다.

인간은 보통 1시간 30분 간격으로 렘수면을 경험하며 이때 꿈을 꾸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또 문어의 뇌 활동을 분석한 결과, 문어가 조용한 수면 상태에 진입했을 때는 인간이 비(非)렘수면 상태일 때 나타나는 뇌파인 '수면방추'(sleep spindle)와 유사한 신경 활동이 관측됐다고도 설명했다. 수면방추는 인간이 정보를 장기기억에 저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파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의 수석 저자인 샘 레이터 교수는 “우리는 (문어가) 깨어 있을 때 보이는 특정 피부 패턴을 사냥, 사회적 활동, 위협 표시, 위장 등 상황과 연관 지을 수 있다”면서 “우리는 이 같은 패턴이 활동적 수면 상태에서 다시 나타난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다만 문어가 활동적 수면 상태에 있을 때 피부색 등을 바꾼다고 해서 '문어가 꿈을 꾼다'고 확언할 수는 없다고 레이터 교수는 전했다.

문어가 위장 능력을 키우기 위해 잠자면서도 피부색을 바꾸는 연습을 하거나, 색소 세포를 잘 유지하기 위해 하는 행동일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