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가 인간처럼 '렘수면' 상태에 겪으며, 심지어는 꿈까지 꾸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미국 ABC 방송에 따르면,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원(OIST)과 미국 워싱턴 대학 공동 연구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야행성 문어인 '라케우스 문어'(Octopus Laqueus) 29마리가 낮 동안 보이는 휴식 시간을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해파리나 초파리 등 모든 동물이 잠을 자는 것처럼 문어 역시도 잠을 잔다. 수조를 두드리는 것과 같은 물리적 자극을 가할 경우 문어는 깨어 있을 때, 휴식을 취할 때 등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인간 등 오직 척추 동물에서만 관찰되던 '렘수면'이 이 문어들에게서 관찰돼 연구진을 놀라게 했다.
연구진은 문어가 잘 때 '조용한 수면'과 '활동적 수면' 등 2개 단계를 겪었다고 전했다.
가만히 잠을 자던 문어가 갑자기 피부색을 바꾸고, 눈과 다리를 움직이고, 빠르게 호흡하는 등 '활동적 수면' 형태를 보이다가 다시 잠잠해져 '조용한 수면'에 드는 모습이 관찰됐다는 설명이다. 이런 행동은 약 1시간 간격으로 반복됐다.
연구진은 문어의 이 같은 모습의 인간이 '렘수면'에 들었을 때 보이는 행동과 유사하다고 전했다. 렘수면은 잠을 자는 것처럼 보이지만 뇌파는 깨어 있는 수면 형태를 뜻한다.
인간은 보통 1시간 30분 간격으로 렘수면을 경험하며 이때 꿈을 꾸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또 문어의 뇌 활동을 분석한 결과, 문어가 조용한 수면 상태에 진입했을 때는 인간이 비(非)렘수면 상태일 때 나타나는 뇌파인 '수면방추'(sleep spindle)와 유사한 신경 활동이 관측됐다고도 설명했다. 수면방추는 인간이 정보를 장기기억에 저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파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의 수석 저자인 샘 레이터 교수는 “우리는 (문어가) 깨어 있을 때 보이는 특정 피부 패턴을 사냥, 사회적 활동, 위협 표시, 위장 등 상황과 연관 지을 수 있다”면서 “우리는 이 같은 패턴이 활동적 수면 상태에서 다시 나타난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다만 문어가 활동적 수면 상태에 있을 때 피부색 등을 바꾼다고 해서 '문어가 꿈을 꾼다'고 확언할 수는 없다고 레이터 교수는 전했다.
문어가 위장 능력을 키우기 위해 잠자면서도 피부색을 바꾸는 연습을 하거나, 색소 세포를 잘 유지하기 위해 하는 행동일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
서희원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