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뛰는 과학기술외교관' 사업모델, 특허로 범부처 확산 '도전'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SA' 제도 모델
비임상·규제·특허 등 전문가들 전국 방문
연구자 애로 해소, 사업기간·비용 절약 효과도
특허출원해 범부처 과제 지원 기여 목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KFRM) 'SA(Science Ambassador) 제도' 사업모델이 특허 출원에 도전한다.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으로 확대해 과제 성공율을 높이고, 유관 부처와 산하기관 간 협력 수위를 높이는 효과를 노린다.

1일 KFRM에 따르면 2021년 출범 후부터 운영해온 SA 제도 사업모델에 대해 연내 특허 출원을 추진키로 했다.

SA 제도는 비임상, 규제, 특허 등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직접 연구기관을 방문해 현장 애로를 듣고 문제 해결과 연구성과 향상을 위해 조언해주는 일종의 연구개발 지원 서비스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SA 제도 (자료=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SA 제도 (자료=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통상 정부 연구개발 지원 조직은 예산을 제대로 사용했는지, 연구결과에 대한 논문이 몇 군데 게재됐는지에 따라 결과를 살피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KFRM이 고안한 SA 제도는 분야별 전문가들이 직접 발로 뛰어 전국 연구현장을 찾는 일종의 '과학기술외교관' 역할을 한다. KFRM 소속 임직원은 물론 특허 변리사, 인허가 경험을 갖춘 심사관, 비임상 전문가, CMC 전문가 등 약 4~5명이 연구자의 현장 고충을 듣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제공한다.

SA 제도는 사업단이 2021년 7월 정식 출범한 후 도입했다. 논문 실적 위주 연구개발 과제 수행에서 탈피해 실제 연구 성과를 극대화함으로써 기술이전, 사업화, 과제간 연계까지 도움을 주는 게 목표다.

지난 5월 기준 KFRM이 선정한 107개 과제 중 107개 과제 수행기관을 방문해 컨설팅을 제공했다. 2021년 51개 과제, 2022년 56개 과제 전체 수행기관을 방문할 정도로 SA 제도를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조인호 KFRM 단장은 “SA 제도로 컨설팅을 받은 과제 담당기관을 조사한 결과 만족도가 98%에 달할 정도로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면서 “특히 첨단재생의료가 생소한 분야이다보니 바이오 기업과 정부 규제기관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SA 전문가들이 가교 역할을 잘 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KFRM이 2021년 지원과제에 대해 현장방문한 결과 연구수행 관련 애로 65건, 정책·제도관련 애로 38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인허가, 비임상, 특허, 임상시험계획서 작성법, 후속 RFP 연계지원 등 기술개발 관련 애로가 가장 많았다. 기술이전 관련 지원과 기업 연계 등 성과 관련 애로, CMO·CRO 기관 등 정보 공유와 연계 등 인프라 관련 애로도 다수 차지했다.

정책·제도 부문에서는 품목·제품 분류, 규제기관 가이드라인 등 인허가 관련 애로가 가장 많이 접수됐다. 원료수급제도, 원료 국산화와 공유 관련 애로도 다수 차지했다.

KFRM에 따르면 2021년에만 컨설팅으로 약 17억6000만원 절감 효과를 거뒀다. SA 전문가들이 원료물질 세포은행을 연계해주거나 GMP 생산시설을 연계해줬고, 중복실험이나 잘못된 동물실험을 방지하도록 조언한 효과가 컸다. 과제당 수행기간을 평균 3.4개월을 단축해 51개 과제에서 62억5000만원을 절감하는 효과도 발생했다. FDA 임상승인 자문, 글로벌 기술이전 자문, 해외특허 출원 자문 등 글로벌 진출 연계도 지원했다.

조 단장은 “SA 제도 사업모델에 대해 특허를 출원한 후 다른 기관이 벤치마킹을 원하면 무료로 제도를 안내하려 한다”면서 “SA 제도가 큰 틀에서 국민에게 성과를 되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