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에듀테크 진흥방안 성공하려면

[ET톡]에듀테크 진흥방안 성공하려면

교육부가 지난달 관계부처 합동으로 '에듀테크 진흥방안'을 발표했다. 에듀테크 산업을 육성해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고 관련 수출을 활성화하는 게 핵심이다.

진흥방안은 AI 디지털교과서를 비롯해 공교육 기반의 다양한 에듀테크 기술 개발을 촉진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지난달 막 내린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박람회를 아시아 최대 수준 행사로 키우는 계획도 포함했다.

산업계에서 가장 먼저 반색했다. 지난 정부에서도 이러한 에듀테크 활성화 방안을 언급한 바 있지만 지속적 정책과 지원으로 이어지지 못 했다.

그동안 공교육에서 에듀테크는 교육의 질이나 차별성이 보장되지 못한 채 무료 서비스만 남발됐다.

이로 인해 우수한 민간 서비스의 공교육 진입이 어려워졌고, 학교 내 에듀테크 활용의 발목을 잡는 부작용만 초래했다. 학교와 교사, 학생 등 수요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는 선진국의 에듀테크 기술이나 서비스와 비교해서도 한계가 분명하다는 것을 드러냈다.

에듀테크 진흥방안이 첫발을 내디딘 만큼 후속 대응이 중요하다. 에듀테크 산업은 교육부만의 영역이 아니다. 2000년대 초반 이러닝 산업이 태동된 이후 산업통상자원부와 교육부는 이러닝 곧, 현재 에듀테크 산업 주무부처였다.

그러나 이러닝에서 에듀테크 산업으로 변모·발전하는 동안 교육산업으로서 산업 진흥 정책에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한쪽에서는 사교육으로 비판받고, 다른 쪽에서는 상대적으로 영세한 산업군으로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다.

성장을 위한 환경 조성의 첫 단추는 현황 파악이다. 에듀테크 산업의 표준 정의와 분류체계, 공식 통계에 대한 연구 조사가 시급하다. 데이터는 정책 담당자는 물론 에듀테크 산업에 투자하려는 기업, 투자자의 올바른 판단을 위한 출발점이다.

교육부와 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민간 협회까지 힘을 모아 에듀테크 통계와 정확한 시장 조사에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 당장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2025년 도입을 앞두고도 잠정 시장 규모에 대한 기준이나 전망치가 불분명하다.

2020년 팬데믹 여파로 초유의 온라인 개학이 이뤄지고, 학교 현장의 디지털 전환은 모두의 숙제가 됐다. 당시 급한 불을 끄듯 초중고 학생들의 온라인 개학을 도왔지만, 교육의 질 측면에서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다시 3년이 지났다. 2028년 대학입시제도(대입)를 비롯해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제도 대개편이 속도를 내고 있다. 더는 변화를 미룰 수 없다. 교유부, 산업부, 중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까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학교 혁신과 에듀테크 진흥을 적극 지원, 협력해야 한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