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에 대한 이용자 인식이 '위험하지만 편리한 교통수단'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호 장비를 함께 대여하고 싶은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신문이 오픈서베이와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전동킥보드에 대한 부정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부정적·부정적으로 답한 응답자는 46.8%, 보통은 38.2%, 매우 긍정적·긍정적으로 답한 응답자는 15%로 집계됐다.
부정적 인식을 가진 응답자의 82.4%가 위험성을 이유로 꼽았다. 위험하다고 판단한 이유로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성이 1위를 차지했다. 무면허·청소년 등 부적합한 이용, 전동 킥보드와 차량·자전거 등의 충돌 우려가 근소한 차이로 2위, 3위에 등극했다. 도로 인프라가 전동킥보드 주행에 적합하지 않아 위험하다는 응답은 4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주행 속도가 빨라서, 음주, 안전 운행 사용자가 드물어서 등의 응답이 나왔다.
응답자 10명 중 7명은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은 편리성을 주요 특성으로 꼽았다. 이용해 본 사람 중 긍정 평가 응답 이유로는 '걷는 것보다 빨리 이동할 수 있어서' '편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가 각각 50%를 넘겨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이용 주 목적은 모임 장소로 이동, 출·퇴근과 등·하교, 재미를 위해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경험이 없는 사람은 전동킥보드를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전동킥보드 대여 서비스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위험해 보여서'가 69.6%로 1위를 차지했다. '다른 교통 수단이 잘 갖춰져 있어서'가 2위, '헬멧을 가지고 다니기 귀찮을 것 같아서'가 3위로 꼽혔다.
공유 전동 킥보드 대여 서비스 이용 시 느낀 불편함은 보호 장비를 함께 대여하기 어려운 점이 1위로 꼽혔다. 사고 발생 시 보험 처리가 어렵다는 점, 서비스 운영사에 따라 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앱)을 매번 다운로드해야 한다는 점이 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지정 구역에 주차해야 한다는 점, 주차 구역이 많지 않다는 점, 운행 전 면허 인증을 해야 한다는 점 등이 불편한 부분이라 응답했다.
이용자는 보완할 부분으로 면허 및 헬멧 의무화에 대한 플랫폼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전용 도로, 주차 장소 등 인프라 확충이 2위와 3위에 올랐다. 이 외에도 서비스 가능 지역 확대, 결제 수단 다양화, 대중교통 환승 혜택 등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는 추가 제재보다 대여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안전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지는 것이 활성화의 핵심이라 분석했다. 조사 결과, 안전과 이용 활성화가 한 쪽을 희생해야만 얻을 수 있는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KDI) 박사는 “이미 법과 제도에서 헬멧 착용을 강제하고 있는 만큼 추가 제재보다 사업자 스스로 안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주차 AI 기술 도입, 헬멧 착용 인증 등을 통해 실질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민과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